Page 28 고등학교 정보통신 교과서
P. 28
(2) 캡슐화
캡슐화 캡슐화(encapsulation)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송수신하기 위해서 단편화된 작은 블
• 데이터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헤
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 록의 데이터에 플래그 비트, 주소 비트, 제어 비트, 에러 검출 비트 등과 같은 각종 제
를 부가하는 과정 어 정보를 덧붙이는 것을 말한다.
• PDU는 데이터와 제어 정보를 갖
고 있음.
송신자 수신자
Trailer Data Header 프로토콜 프로토콜
개체 개체
Data Data Data Data
PDU PDU
제어 정보 제어 정보
그림 Ⅰ-10 캡슐화 과정
(3) 제어
① 연결 제어
데이터그램 방식
수신지가 같은 패킷이라도 다른 경 연결 제어 (connection control)는 송수신 측의 매체 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쓰인다.
로를 통하여 전송하는 방식
두 매체의 연결을 성립시키고, 데이터를 전송하며, 연결을 해제하는 세 가지 과정을
가상 회선 방식
거치게 된다. 연결 제어에는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이 있다.
패킷을 사전 설정된 경로에 따라 순
서대로 전송하는 방식
B 수신 측 A 송신 측 B 수신 측
②
① ① 교환 노드 1 ①
③ ② ② ① ① ②
송신 측 A ③ ② ① ③ ① ② 교환 노드 2
교환 노드 2
① ②
교환 노드 1 C ② ①
② ② 교환 노드 3
교환 노드 3 ②
①
C D
그림 Ⅰ-11 데이터그램 연결 제어 방식 그림 Ⅰ-12 가상 회선 연결 제어 방식
② 흐름 제어
정지 대기 방식 흐름 제어(flow control)는 수신 측의 처리 능력에 따라 송신 측에서 송신하는 데이
수신 측에서 오류 발생을 점검하여 터의 전송량 또는 전송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말한다. 프로토콜의 여러 계층에서
긍정 응답 문자(ACK)나 부정 응답
문자(NAK)를 보낼 때까지 기다리 수행되며, 정지 대기 방식과 슬라이딩 윈도 방식이 있다.
는 방식
슬라이딩 윈도 방식 ③ 오류 제어
패킷이 중도에 잘못되었을 경우, 그 오류 제어(error control)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 가능한 오류나 착오 등을 검출하고
패킷들의 전달이 확인되는 대로 이
윈도를 옆으로 옮김(slide)으로써 정정하는 기능을 말하며, 프로토콜의 여러 계층에서 수행된다. 대표적인 오류 제어
그 다음 패킷들을 전송하는 방식
방식에는 오류 수정 방식과 자동 반복 요청 방식이 있다.
26 Ⅰ . 정보 통신의 기초
정보통신 3차제출본.indb 26 2017-09-06 오후 4:2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