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고 체육탐구
P. 33







2

체육의 문화적 기능과 역할


1. 스포츠 활동과 문화 자본

사람들의 몸에 형성된 습관, 체질, 인식 등을 문화 자본이라고 한다. 체육 활동은
이러한 문화 자본을 형성하고 증진한다.


⑴ 문화 자본의 핵심인 ‘취향’

우리는 취향을 개인의 문제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매우 사회적인 자질이다. 취향이
같은 사람들끼리 무리를 이루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권투에 취향이 있는 사람은 같
은 부류의 사람들과 무리를 짓고 관계를 맺는다. 이처럼 ‘그들’과 ‘우리’의 구분은 취

향에 의해 결정된다.


⑵ 사회화와 취향
취향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길러진다. 첫 번째는 가정이라는 1차 사회화 과정을 사회화
사회화란 사회가 기대하는 다양한 자
통해, 두 번째는 학교라는 2차 사회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질이나 규범에 적응해 가는 과정을 말
하며, 그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물을 사
회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회성이 부
⑶ 체육 활동으로 길러지는 문화 자본 족하다는 말은 사회화 과정을 잘못 경
대부분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요구되는 성향은 경쟁성과 진취성이다. 따라서 많은 험했다는 말과 동일하다. 사회화 과정
은 1차로 가정에서, 2차로 학교에서, 3
사람들이 경쟁성과 진취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며, 꾸준한 체육 활동은 이러한 차로 사회에서 이루어진다.
경쟁성과 진취성을 길러 내는 알맞은 매개체로 활용된다.


골프와 문화 자본
스포츠의 제왕으로 불리는 골프는 단순히 잔디 위에서 클럽으로 공을 쳐 홀에 넣는 스포츠가
아니다. 다양한 에티켓, 규범, 규칙 등을 배우고 익혀야만 사람들과 제대로 어울릴 수 있다. 이
러한 예절은 사회적으로 교양 있는 사람들의 세련된 몸가짐과 매우 유사하다. 골프를 배우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성향을 체득할 수 있게 된다.









럭비와 문화 자본
영국 학생들은 럭비를 필수 종목으로 배운다. 럭비에는 영국 문화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배
려, 양보, 협력의 신사 정신 요소가 배어 있기 때문이다. 럭비 경기는 자신보다 뒤에 있는 선
수에게만 패스할 수 있으며,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스크럼을 짜는 등 협력이 필수적이다.











30 Ⅰ . 체육의 본질 03. 현대 사회에서 체육의 기능과 역할 31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31 2018-07-19 오후 3:14:36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