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고 체육탐구
P. 30
2. 체육 활동과 사회 자본
체육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동호회나 스포츠 클럽은 자발적으로 결성된 사회 집
단이므로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돈독하게 한다. 이러한 사회 자본은 사회를 발전시
키고 상호 신뢰를 증진시킨다.
⑴ 우리나라의 사회 자본 지수
사회 자본 우리나라의 사회 자본 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다. 사회 자
사회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협조나 협
동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 네트워크나 본 지수가 낮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 사회가 타인이나 공공 기관을 불신하는 수준이
규범, 신뢰를 뜻한다. 즉, 사회 자본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람들 간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는 윤
활유 같은 기능을 한다.
주요국 및 한국의 사회 자본 지수(단위: 점)
6.66 6.53 6.46
6.36
6.28 6.16 6.06 5.94
5.66 OECD 평균 5.80점
5.41 5.40 5.31
5.14 5.07
4.53
29위
노르웨이 스웨덴 호주 스위스 캐나다 영국 독일 미국 프랑스이탈리아 일본 폴란드 멕시코 한국 그리스
[출처] 한국경제연구원(2012년)
⑵ 체육 활동과 사회 자본의 관계
나 홀로 볼링 팀 단위로 이루어지는 체육 활동은 동일 목표를 공유하고, 팀원 간 협동하고 규칙
미국의 사회학자 로버트 퍼트넘(Robert
Putnam)이 사회 자본을 연구하면서 을 준수해야 하므로 사회 자본을 증진시킨다.
비유한 말로, 미국인들은 언제부터인
가 혼자 볼링 치는 것에 익숙해졌다며 스포츠 경기는 승리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며, 팀으로 뭉친 구성원들은 그 목표를 공
동일 목표 공유
사회적 신뢰와 네트워크가 붕괴된 사 유한다. 목표의 공유는 구성원들이 협력하는 계기가 된다.
회 자본의 감소를 지적하였다.
팀의 구성원들은 공동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자신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며, 동시에
팀원 간 협동
다른 포지션의 팀원을 도와줌으로써 구성원 간의 신뢰를 형성한다.
체육 활동은 규정된 경기 방법과 규칙에 따라 이루어진다. 경기 규칙을 준수하는 과정
규칙 준수
에서 사회 규범을 지키는 태도를 배울 수 있다.
사회 자본의 두 가지 유형 비교하기
사회 자본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응집 사회 자본은 비슷한 사람들을 더욱 결집시키는 것으로, 알던
사람들끼리 더 협력하는 사회 자본을 말한다. 반면, 연결 사회 자본은 서로 다른 인구 사회학적 배경에 있
는 사람을 결집시키는 것으로, 전혀 모르는 사람들이 만나 신뢰를 형성하도록 만드는 사회 자본을 말한다.
타인에 대한 신뢰가 낮은 문화에서는 응집 사회 자본보다 연결 사회 자본의 발달이 필요하며, 체육 활동은
연결 사회 자본의 발달에 기여한다.
체육 활동을 통한 사회 자본 형성은 언제나 긍정적인 측면만 존재할까?
남학생과 여학생이 함께하는 체육 활동은 언제나 통합의 효과가 있을까?
28 Ⅰ . 체육의 본질 03. 현대 사회에서 체육의 기능과 역할 2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28 2018-07-19 오후 3: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