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 고 체육탐구
P. 26
2. 조선 시대의 체육
조선 초・중기에는 문과 예를 중시하여 무에 대한 관심이 크지 않았다. 그러나 임
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무과를 신설하였고, 평상시에 군사 훈련으로 무예를
수련하기 위한 무예 종합본인 무예도보통지가 출간되었다.
무예도보통지
1790년(정조 14년) 왕명에 의해 규장각 검서관 이
덕무, 박제가 등이 주도하여 편찬한 무예 종합본이
다. 당대까지 전승되어 오던 18기의 무예에 기창, 마
상쌍검, 마상월도 등 6기를 포함하여 총 24기의 무예
가 수록되어 있으며, 무예 관련 서적 200여 종과 동
양 3국의 무예가 총망라되어 있다. 우리의 체질과 기
후, 풍토, 지형 등에 맞게 새롭게 정립하여 무사들의
교육과 실전에 사용된 최고의 무예 종합본이라고 할
수 있으며, 2017년에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었다.
3. 근대 및 광복 이후의 체육
근대 및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현재의 체육 종목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⑴ 개화기 및 일제 강점기의 체육
개화기는 문호 개방과 맞물려 근대 체육의 토대가 된 시기이다. 근대 학교를 통해
지금과 같은 체육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국가 체육 단체가 설립되었다. 일제 강점기
때는 배구, 스키, 골프 등 다양한 스포츠가 최초로 보급되었으며, 일제 탄압에 맞서
는 민족주의적 체육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손기정 일장기 말소 사건
1936년 8월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경기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이 각각 1위
와 3위를 차지하자 대서특필로 이 사실이 보도되었다. 동아일보가 8월 25
일자 신문에 일장기를 지우고 손기정의 사진을 싣자 조선 총독부 당국은
이를 문제 삼고 나섰다. 이 사건으로 동아일보는 279일간 최장기 무기 정
간을 당했고 신문사가 발행하던 잡지들도 모두 발행이 정지되었다. 사건의
핵심이었던 이길용 기자 등 5명은 구속되었다.
▲시상식장의 손기정 ▲동아일보에 실린 손기정
⑵ 광복 이후의 체육
광복 이후에는 학교 주도의 체육이 이루어지면서 대학교에 체육 교육과가 설립되고
체육 교육 과정이 도입되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는 정부 주도하의 엘리트 체육
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체육이 산업화, 정보화, 세계화되면서 시장 주도의 체육
및 스포츠가 발전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 여섯 번째로 세계 4대 국제 스포츠인
하계・동계 올림픽,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모두 개최한 나라가 되었다.
24 Ⅰ . 체육의 본질 02. 체육의 생성과 발전 25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24 2018-07-19 오후 3:1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