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고 체육탐구
P. 24









2. 중세 및 근세 체육

중세에는 종교 신념으로 인하여 체육 활동이 극단적으로 자제되었으나 근세에 들어
오면서 문화 혁신 운동인 르네상스가 일어나 체육에 대한 인식이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⑴ 중세 시대의 체육

기사도 정신 중세 시대는 5세기 말부터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의 시대인 15~16세기에 이르는
중세 시대의 기사들은 기마술, 방패 조 약 1000년의 기간으로, 기독교는 육체가 튼튼하면 욕망이 생겨 정신을 흐리게 한다
작술, 창 쓰기 기술 등의 숙련에 힘썼으
며, 이 와중에 친절하고 겸손한 태도, 고 믿어 고대 사회에서 실시하던 체육 활동이 쇠퇴하게 되었다.
신사적 도리, 관대한 마음, 약자 보호,
상대 존중 등 잘못된 것을 배격하고 의
귀족들이 가장 애호했던 수렵은 개나 매를 이용한 신체 활동으로 수렵장은 상류 계층의 사교
리를 존중하는 인격을 길렀다. 이러한 상류 계급의
기사도 정신은 오늘날의 스포츠맨십과 체육 장이기도 하였다. 기사들은 마상 창시합인 주스트(Joust), 과녁 맞히기(Quintus) 등의 경기
일체를 이룬다. 를 즐겼으며 대부분은 국가의 위급한 상황에 대비한 모의 전술로 행해졌다.

중세 후기에 서민들은 도시를 중심으로 걷기, 뛰기, 던지기 등의 민속적인 놀이를 즐겼으며,
서민들의
술(soul)이나 구주희(nine pins) 같은 공놀이를 하였다. 농민들은 봄, 5월, 가을 등 계절 축제
체육
때 종교와 상관없는 춤, 레슬링, 달리기, 도약, 던지기 등의 놀이를 하였다.

⑵ 근세 시대의 체육

바제도우(J. B. Basedow, 1723~1790) 근세 시대의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은 종교적 세계관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되었으
며, 체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근세 초기


조직적인 체육 활동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인간의 조화로운 발달을 강조하였다. 인문주
르네상스기 의자들은 군사적 신체 훈련에 관심을 두었으며, 비토리노 다 펠트레(Vittorino da Feltre)는
궁정 학교 ‘라지오코사’를 개설해 균형적인 체육 가치관 정립에 공헌하였다.


독일의 교육자로 범애파(汎愛派)를 창 영국은 1485년 헨리 7세의 등극으로 절대 왕권의 시대로 들어서게 된다. 이 시기에는 체육
시하여 행복한 시민 생활에 교육의 목 에 대한 우호적 태도가 형성되어 영국 체육 문화 발달의 근간을 이루지만, 계층에 따라 체육
종교 개혁기
적을 두었다. 학생의 수준과 실제적 교 활동에는 제한이 있었다. 왕실과 귀족들은 볼링, 사냥, 테니스 등을 즐겼고, 중산층은 승마와
육을 중시하여 교육 현장에 많은 영향 양궁을 즐겼다.
을 미쳤다.
근세 후기
자연적 신체 훈련을 통해 늠름함, 체력, 용기를 증진하고, 신체적・정신적으로 조화를 이룬 인간을 육성하는
범애주의가 출현하였다. 바제도우는 범애 학교를 설립하고 교육 과정에 체육을 편성하여 달리기, 펜싱, 레슬
링, 던지기, 멀리뛰기 등을 교육하였다.


3. 근대 및 현대 체육

근대 및 현대에서의 체육은 개인의 건강, 복지, 행복에 영향을 미치며, 종교, 문화,
역사, 지역을 뛰어넘는 인류 공통 언어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인류의 이벤트라고 할

수 있는 올림픽, 월드컵과 같은 국제 대회는 경제, 사회, 정치, 문화 등 모든 면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다.



22 Ⅰ . 체육의 본질 02. 체육의 생성과 발전 2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22 2018-07-19 오후 3:14:27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