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고 체육탐구
P. 25







2

우리나라 체육의 발전


1. 부족 국가에서 고려 시대까지의 체육

우리나라의 체육 활동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생존을 위한 신체 활
동과 군사 훈련의 일환으로 행해진 무예 활동이 주류를 이루었다.


⑴ 부족 국가의 체육
고조선, 부여, 동예, 옥저 등의 부족 국가 시대에는 부족 간의 전쟁이 빈발했기 때

문에 무예 수련이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체육 활동은 생존, 강인한 육체와 정신 수양
을 위한 신체 단련을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민들은 제천 행사를 위한 민속놀이
로 여흥을 즐기기도 하였다.


⑵ 삼국 시대의 체육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은 전제 왕권 중심의 국가였으며, 군사력을 바탕으로 치 각저총 씨름도
열한 전투를 통해 영토를 확장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환경으로 무인 정신을 확립하

여 무예 교육과 승마, 궁술 중심의 체육이 발달하였으며, 귀족들 사이에서는 전쟁에
서 이기기 위한 기사술이 성행하였다.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 그림에 하늘과 인간 세계를 잇는 상징
무용총의 수렵도는 말을 타고 질주하면서 각궁의 활시 적 나무인 우주수(宇宙樹)가 그려진 것
위를 귀까지 당겨 짐승을 사냥하는 모습을 그린 벽화이 으로 보아 고구려에서 장례 행사로 씨
름을 즐겼음을 추측할 수 있다.
다. 말타기와 활쏘기가 결합된 이러한 기사술은 고도의
숙련과 기예를 요구하였으며, 전투 수행 능력의 핵심이
었다. 기사술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고분 벽화에서 흔
히 확인할 수 있다.




⑶ 고려 시대의 체육
고려 시대에는 불교가 들어오면서 무예가 점점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외적의 끊임 국자감
국자감은 992년(고려 성종 11년)에
없는 침입으로 국방력을 강화해야 했다. 이에 따라 국자감과 향학에서 무예를 가르 설립된 국립 고등 교육 기관으로, 경사
쳤으며, 무신 정권이 도래하면서 자연스럽게 무예에 대한 교육이 활발해지게 되었다. 6학의 교육 과정과 7재라는 전문 강좌
가 있었다. 이 중 강예재에서 무예에 대
한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수박희
수박희는 맨손 격투기의 일종으로 무관 인재 선발의 중
요한 무예 종목이었다. 무인 집권기 최고의 권력가인 최
충헌은 손님을 초청하여 연회를 베풀고 수박희를 시켜
이긴 사람에게 즉시 무인의 직책을 주기도 하였다. 이는
수박희가 보직 또는 승진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 무예
로서 기능을 인정받고 있었음을 말해 준다.




22 Ⅰ . 체육의 본질 02. 체육의 생성과 발전 2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23 2018-07-19 오후 3:14:27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