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2 고 체육탐구
P. 42
우리나라의 체육사는 갑오경장(1895년)을 기점으로 전통 체육과 근대 체육으로 나누
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구분은 체육의 역사가 당시의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예
역량 키우기
술, 군사, 지리적 환경 등에 영향을 받으며 변화하고 발전함을 반영한다. 역사의 흐름으
로 체육사를 이해하면 체육의 의미와 가치를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다.
기원전
역사의 2333년 고조선 건국/ 생존 활동 시작
흐름으로 보는
기원전
우리나라 1000년 청동기 시대/ 수렵 활동
체육사
기원전 여러 나라의 성장/ 고구려의 동맹, 동예의 무천,
10세기 부여의 영고, 삼한의 단오와 상달 등 제천 행사
▲ 청동기 시대의 수렵
암각화
기원전 신라 건국/ 우리나라 고대 체육사의 중심 ‘화랑
57년 도’ 조직
기원전 고구려 건국/ 선배 및 무인 청년단 창설, 수박희,
37년 씨름 등 무예 활성화
기원전 백제 건국/ 기마와 활쏘기를 숭배한 민족으로 수
18년 렵과 매사냥을 즐김.
▲ 무용총의 수박희 ▲ 각저총의 씨름도
통일 신라 시대/ 축국, 석전, 투호, 위기 등의 민
676년
속놀이를 즐김.
후백제/ 매사냥(응방) 시작, 팔관회, 무예 수련
900년
중시
고려 건국/ 무예로 인재 선발, 전통 무예와 정신
918년
수련 강조
▲ 매사냥
▶ 수박희 사건 고려 무신 정변 수박희 사건으로 무신들 집권/
무신 이소응이 수박희 경기 중 지쳐서 경기를 피하 1170년 전통 무예 부활, 격구, 씨름, 그네, 연날리기, 축
자 문신 한뢰가 이소응의 뺨을 때린 사건 국, 석전 등 즐김.
조선 건국/ 농병 일치제, 무예도보통지, 이황의
1392년
활인신방(보건 체조)
40 Ⅰ . 체육의 본질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40 2018-07-19 오후 3:1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