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고 체육탐구
P. 51
⑸ 스포츠의 사회적 현상
스포츠에는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존재한다. 스포츠의 사회적 현상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다.
❶ 스포츠와 사회 구조
스포츠 내적으로는 스포츠 조직이나 팀이 사회 구조로 간주되고, 외적으로는 스포 사회 구조
츠와 연관되어 만들어진 경로나 문화가 사회 구조로 간주된다. 사회관계에서 상호 의존 관계에 있는
개인이 지위나 역할에 따라 행동 범위
및 양식이 정해지는 틀을 말한다. 사회
구조는 다양한 사회관계가 반복적으로
스포츠 팀 스포츠 경로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된다.
사회 구조의 종류
가시적 사회 구조: 화장실 입구에 있
는 남녀 표식처럼 눈에 보이면서 사람
들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사회 구조를
말한다.
비가시적 사회 구조: 전통이나 규범,
윤리처럼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영향
을 미치는 사회 구조로, 가시적 사회
스포츠 팀은 구단주나 감독, 의료진, 선수 등 다양한 리듬 체조 종목에 남자 선수가 없고, 여자 보디빌더 구조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지위와 역할로 이루어진 하나의 사회 구조를 이룬다. 가 주변의 시선을 받는 이유는 스포츠와 관련된 사회
스포츠의 사회학적 현상은 이 같은 다양한 지위와 역 적 경로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할의 상호 작용 속에서 발생한다.
❷ 스포츠와 사회 과정
사회 과정은 사회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스포츠의 사회적 현상을
분석할 때는 사회 변화에 따라 스포츠가 어떠한 모습을 띠는지 살펴야 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스포츠의 종류, 성격, 형태 등이 변화하며, 스포츠의 변화는 인구 구조,
기술 발전, 새로운 문화 유입 등에 영향을 받는다.
| 근래 우리나라의 스포츠 변화 |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프로 야구 출범 •대학 농구 인기 •2002 한일 월드컵 •해외 스포츠 적극 유입
•프로 축구 출범 •오빠 부대(응원 문화) •축구의 국민 스포츠 등극 •야구의 국민 스포츠 등장
•프로 레슬링 인기 •길거리 농구 인기 •길거리 응원 문화 등장 •여가 스포츠 확산
•서울 올림픽 개최 • IMF 경제 위기 속 스포츠 국민 •프로 농구 출범 •스포츠 클럽 등장
영웅 등장(박찬호, 박세리) •선수들의 해외 진출 활발
❸ 스포츠와 사회 문제
사회 변화가 일어나면 이에 따른 사회 문제가 발생한다. 스포츠 역시 프로 스포츠
가 도입된 이후 과도한 상업화가 진행되면서 승부 조작이나 불법 도박 문제가 발생
하고 있다.
48 Ⅱ. 체육과 과학 01. 체육의 사회학적 원리와 적용 4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49 2018-07-19 오후 3:1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