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5 고 체육탐구
P. 55









❷ 스포츠 외부의 일탈
• 관중 폭력: 관중들은 경기 결과나 선수의 행동에 폭력을 휘두르기도 한다. 축구 훌리건(hooligan)
축구장에서 난동을 일으키는 무리들을
의 훌리건이나 선수단 차량에 폭력을 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가리키는 말로, 과도한 폭력성과 다른
• 스포츠 도박: 스포츠 경기와 관련하여 거액의 돈을 베팅하기도 한다. 합법적으로 팀 응원단을 심하게 배척하는 성향을
지닌 축구팬을 총칭하여 일컫는다.
이루어지는 스포츠 토토(toto) 이외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스포츠

경기 관련 베팅은 모두 불법이다.


⑶ 스포츠와 계층화
계층화란 사회가 특정 기준에 의해 층으로 구분되고 그것이 견고해져 하나의 사회

구조로 작동하는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회 계층은 소득 수준에 따라 구분되
며, 이로 인해 스포츠 참가 경향 역시 다양한 사회적 현상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소득 수준에 따라 참여하는 스포츠 종목이 다르다. 예를 들어, 고소득층
경제 수준과
은 골프, 승마, 스키와 같은 스포츠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고, 그 밖의 계층은 등산, 축
스포츠
구, 혹은 관람 스포츠 중심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경향이 높다.

소득 수준이 높은 사람이 고급 자동차를 구입하는 이유가 단지 안전을 위한 것이 아니
과시적 소비와 듯, 고소득층 사람들이 특정 스포츠에 참여하는 이유도 그 스포츠가 가진 재미뿐 아
스포츠
니라 자기 과시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4강 진출,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금메달 등 좋은 성적을 거
계층 사다리로서의
둔 선수들은 규모가 큰 다른 나라 리그에 진출하여 거액의 연봉을 받기도 한다. 이처
스포츠
럼 스포츠는 다른 계층으로의 사회 이동 현상을 낳는다.








긍정적 일탈 비교하기

일탈은 방향에 따라 부정적 일탈과 긍정적 일탈로 구분된다. 사회 규범을
따르지 않으면 사회 규범의 비동조로 부정적 일탈이지만, 지나치게 잘 따르
면 과동조로 긍정적 일탈이 된다. 예를 들어, 3일 동안 밤을 새워 공부하는
사회 규범의
학생은 ‘학생은 공부를 열심히 해야 한다.’는 사회 규범을 지나치게 잘 따르 정상 곡선
는 행위로 긍정적 일탈에 해당한다. 스포츠에서는 훈련을 지나치게 열심히
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마라톤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운동 중독에 빠지는
경우도 긍정적 일탈이라고 할 수 있다. 사회 규범의 일반적으로 사회 규범의
비(非)동조 수용되는 행동 범위 과(過)동조

불법적 행위 지나친 수용 행위
(부정적 일탈) (긍정적 일탈)
스포츠에서 긍정적 일탈을 한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52 Ⅱ. 체육과 과학 01. 체육의 사회학적 원리와 적용 5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53 2018-07-19 오후 3:15:11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