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8 고 체육탐구
P. 58







2

스포츠 활동의 사회학적 원리 적용


1. 농구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절정의 인기를 누렸던 농구 경기에는 다
양한 사회적 현상이 담겨 있다.


⑴ 하위문화로서의 길거리 농구
하위문화는 주류 문화와는 다른 특징을 지닌다. 5명이 한 팀을 이루는 5 대 5 농
‘스포츠는 사회의 축소판’이라고 하는
데 이 말의 의미는 무엇일까? 구를 주류 문화라고 한다면, 길거리 농구는 하위문화라고 할 수 있다. 길거리 농구
스포츠를 단순히 뛰고 즐기는 활동으 등장의 사회학적 원인은 다음과 같다.
로 보는 방식이 아닌 우리가 사는 세상
의 논리가 스포츠에도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보는 사회학적 전제를 말한다. 10명이 모두 모여 정식 농구 경기를 하려면 길거리 농구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이
공간 협소
이 전제를 인정한다면, 우리는 스포츠를 필요하며, 10명이 한 번에 모이기도 쉽지 않다.
이해함으로써 사회도 이해할 수 있다.
입시 중심의 학교생활로 힘든 청소년들이 쉬는 시간에 공만 있으면 쉽게 경기를 즐길
청소년 중심 문화
수 있었던 구조적 환경이 작용하였다.

스포츠 기업의 특정 스포츠 기업이 3 대 3 농구 대회를 개최하여 사회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고, 이후
개입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 농구를 즐기게 되었다.



⑵ 농구의 흥망성쇠와 사회적 요인
우리나라의 농구 열기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식기 시작하였다. 여기에는 농구 자
체의 문제보다는 사회적 흐름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문화적 요인 문화적 요인
•길거리 농구 쇠퇴
•농구 만화와 드라마 열풍
•농구 콘텐츠 개발 미비
•길거리 농구 인기
•새로운 문화 등장

스포츠 요인 스포츠 요인

•오빠 부대와 같은 팬덤 문화 흥행 요인 쇠퇴 요인 •대학 농구 리그 침체
•대학 농구 리그 활성화 •스타 선수 발굴 실패
•스타 선수 등장 •국제 대회 성적 부진


세계화 요인 세계화 요인

• 미국 프로 농구(NBA)의 중
•국내 선수 해외 진출 실패
계와 인기
•영국 프로 축구(EPL) 인기
• 농구 선수 ‘마이클 조던’의
•야구, 축구 등 해외 리그 진출
영웅화



56 Ⅱ. 체육과 과학 01. 체육의 사회학적 원리와 적용 57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56 2018-07-19 오후 3:15:16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