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고 체육탐구
P. 62
3. 야구와 축구
야구와 축구는 대중적으로 많이 즐기고 관람하는 스포츠로, 사회학적 측면에서 자
주 비교 대상이 된다.
⑴ 사회 통제 수단으로서의 야구와 축구
우리나라에서 야구와 축구는 사회 통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는 의견이 지배적
3S 정책
사회적으로 3S(Screen: 영화, Sex: 이다. 야구와 축구는 1980년대 초반 3S(스크린, 섹스, 스포츠) 정책의 한 수단으로
성 산업, Sports: 스포츠)를 활성화하
여 대중의 정치적 무관심을 유도함으 서, 국민들이 정치보다는 프로 스포츠에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문화 통제
로써 지배자가 마음대로 대중을 조작
할 수 있게 하는 정책을 말한다. 방법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 프로 야구 출범 개막식 시구(1982년) ▲ ‘박대통령컵 아시아 축구 대회’ 시축(1971년)
⑵ 지역성을 표출하는 응원 문화
야구와 축구의 응원 문화 차이 야구와 축구를 포함한 모든 프로 스포츠는 기본적으로 지역을 연고로 삼는다. 지
야구와 축구는 응원 문화에서 차이를 역 간 대립 구도 형성은 지역의 단합을 촉진하고 경기 흥행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보인다. 야구는 치어리더의 율동에 맞
추어 응원하는 반면, 축구는 특정인의 또한, 지역의 특색을 야구나 축구와 결합함으로써 지역 홍보를 하기도 한다.
리드 없이 관람자 모두가 경기에 몰입
하며 각자의 팀을 응원한다. 이러한 응 지역성을 띤 응원 문화는 일종의 구별 짓기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
원 문화 차이는 경기의 특성과 관련이 을 강조하고 지역의 단합을 위해 응원 방식, 색깔, 음악 등을 선정하고 공유한다. 특
있다. 야구는 공수 교대 시간이 있고, 5
회가 끝나면 쉬는 시간이 주어지며, 분 히, 야구의 경우 선수마다 특정 음악과 응원 노랫말을 만들어 그들만의 응원 문화를
절적으로 경기가 이루어지지만, 축구
는 전반과 후반 사이의 쉬는 시간 외에 형성한다.
는 연속적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 부산을 연고로 한 프로 야구 팀을 응원하는 독특한 응원 ▲ 수원을 연고로 한 프로 축구 팀의 서포터스 응원 문화
문화
60 Ⅱ. 체육과 과학 01. 체육의 사회학적 원리와 적용 61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60 2018-07-19 오후 3:1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