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6 고 체육탐구
P. 66









⑵ 동기

동기는 목표를 향해 행동을 시작하는 내적 과정을 뜻하며, 노력의 방향과 강도로
정의된다. 노력의 방향은 ‘어떤 활동을 추구하는가’를 말하며, 노력의 강도는 ‘얼마만
큼의 노력이 투입되는가’를 의미한다.

❶ 동기와 스포츠 수행의 관계

유능성과 자결성 • 인지 평가 이론 인간은 유능성과 자결성을 느끼려는 본능적인 욕구가 있으며, 이
 유능성: 자신의 노력으로 바람직한 러한 유능성과 자결성을 높여 주는 사건이 내적 동기를 증가시킨다는 이론이다.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일종의 자신감
을 말한다. 어떤 사건이나 행동에는 정보적 측면과 통제적 측면이 존재하는데, 정보적 측면
 자결성: 자기 스스로 어떤 행동을 결
정하고 조절하는 것을 말한다. 은 유능성과 관련이 높다. 예를 들어, 어떤 선수가 국가 대표 팀에 선발되었다면
이는 곧 자신의 능력이 높다는 정보를 제공하여 유능성이 증가하고 내적 동기

도 증가하게 된다. 통제적 측면은 자결성과 관련이 높다. 예를 들어, 스스로 운
동량을 결정하여 운동을 시작했다면 내적으로 자결성이 증가하여 내적 동기가
증가하게 된다.



긍정적 유능성 증가 내적 동기 증가
정보적 측면
부정적 유능성 감소 내적 동기 감소
사건
내적 자결성 증가 내적 동기 증가
통제적 측면
외적 자결성 감소 내적 동기 감소



귀인 이론의 시사점 • 귀인 이론 귀인 이론은 성공이나 실패의 원인을 무엇으로 생각하느냐에 따라 정
귀인 이론은 경기 결과의 원인이 행동
과 정서 반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서적, 행동적 반응이 달라진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선수들은 경
경기 결과의 원인을 제대로 알아야 함 기 결과의 결정 요인을 안정성, 인과성, 통제성으로 분석한다.
을 시사한다.

사건의 원인이 안정적인 것인가 불안정적인 것인가를 말한다. 예를 들어, 경기 결과의 원
안정성 인을 개인의 능력이라고 생각하면 안정적인 것에 해당되며, 개인의 노력은 투입 정도가 조
절 가능하므로 불안정적인 것에 해당한다.



사건의 원인이 내적인가 외적인가를 말한다. 예를 들어, 경기 결과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
인과성 이나 노력 탓으로 여긴다면 내적 요인에 해당하고, 경기 결과의 원인을 날씨나 심판 때문
이라고 생각하면 외적 요인에 해당한다.



사건의 원인을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가 없는가를 말한다. 즉, 통제가 가능하다는 것은 자
통제성 신이 경기 결과의 원인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고,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그 원인을
자신이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64 Ⅱ. 체육과 과학 02. 체육의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65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64 2018-07-19 오후 3:15:26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