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8 고 체육탐구
P. 68
⑶ 불안
불안은 초조함, 걱정, 우려와 같은 부정적인 정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신체의 각
성 또는 활성화를 유발한다.
❶ 불안의 증상
각성 불안은 성격, 상황, 생각, 신체 반응 등에 의해 나타나며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각성은 심리적, 생리적 기능을 활성화
한다. 다음과 같은 활동으로 각성을 촉
진할 수 있다. | 과도 불안에 따른 증상 |
신체 활동하기
활력을 불어넣는 단어나 이미지 생각
생리적 증상 심리적 증상 행동적 증상
하기
음악 듣기 심박수와 혈압이 높아진다. 근심과 걱정이 생긴다. 말이 빨라지고 목소리가 떨린다.
긍정적인 마음 갖기 호흡이 빨라지며 손에 땀이 난다. 의사 결정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손톱을 물어뜯는다.
동공이 확대되고 뇌 활동이 증 압도당한 느낌이나 혼동감을 갖 발을 떤다.
가한다. 는다. 근육에 경련이 일어난다.
산소 섭취량이 증가한다. 주의 집중력이 떨어진다. 하품을 하거나 눈을 자주 깜빡
입이 마르고 소변이 자주 마려 상황을 통제하는 느낌이 없어 거린다.
워진다. 진다.
아드레날린이 증가한다. 주의의 폭이 좁아진다.
❷ 불안과 스포츠 수행의 관계
불안이 스포츠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바라보는 관점은 다양하다.
높음 높음 인지적 불안
신체적
운동 운동 운동 불안
수행 수행 수행
낮음 각성 수준 높음 낮음 생리적 각성 높음 낮음 불안 수준 높음
추동 이론 역U자 이론(적정 수준 이론) 다차원 불안 이론
각성 수준이 높아질수록 운동 수행도 이와 비례하 각성 수준이 중간 정도일 때 최고의 운동 수행을 발 불안은 인지적 차원과 신체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여 높아진다. 복잡한 기술이 요구되는 운동 과제는 휘한다. 그러나 개인차, 과제 형태에 따라 적정 수 있으며, 인지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운동 수행은 점
설명을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지 못한다. 차 감소하고, 신체 불안 수준과 운동 수행은 역U자
관계를 보인다.
A 선수 최고 수행
수행
B 선수 최고 수행 수행 곡면
C 선수 최고 수행
신체적
30 40 50 60 각성
상태 불안 수준 인지적 불안
최적 수행 지역 이론 카타스트로피 이론
적정 각성 수준에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 인지 불안 수준이 낮을 때는 역U자 관계가 형성되
하며, 역U자 이론의 단점을 극복하는 좋은 대안으 지만, 인지 불안 수준이 높을 때는 신체 불안 수준
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적정 수준을 초과하고 수행의 급격한 추락 현상
이 발생한다.
66 Ⅱ. 체육과 과학 02. 체육의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67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66 2018-07-19 오후 3:1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