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고 체육탐구
P. 71
⑹ 심상
심상이란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마음속으로 어떤 경험을 떠올리거나 새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경기를 직접 체험하지 않고도 상황을 상상하면서 경기 전략, 전술, 상
황 판단, 느낌 등을 떠올릴 수 있다.
❶ 심상의 효과
스포츠 상황의 스트레스뿐만 아 긴장과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에
스트레스
니라 생활 스트레스도 해소할 감정 조절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심상으로
해소
수 있다.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
과거에 성공적으로 수행한 장면
경기 전에 어디에 주의 집중할
집중력 자신감 을 떠올려 그때의 느낌을 반복
것인지를 심상하면 실제 경기에 심상
향상 향상 하여 심상하면 동작에 대한 자
서 당황하지 않는다.
신감이 높아진다.
심상을 통해 스포츠 기술의 특
스포츠 기술 심상은 통증에 적절히 대처하고
정 부분을 반복 연습하여 개인 부상 회복
및 전략 연습 부상 부위의 회복을 촉진한다.
및 팀 전술을 향상시킬 수 있다.
❷ 심상의 중요 요소
• 선명도 실제 장면과 최대한 가깝게 이미지를 떠올리는 것을 말한다. 선명도를 심상의 유형
내적 심상: 자신의 관점에서 동작의
높이려면 시각, 청각, 촉각, 후각, 운동 감각 등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경기 상황 수행 장면을 상상하는 것을 말한다.
의 환경, 감정 등을 최대한 자세하게 떠올려야 한다. 외적 심상: 외부의 관찰자 시점에서
자신의 동작을 상상하는 것을 말한다.
• 조절력 이미지를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미지를 조절할 수
있어야만 실수하는 장면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올바른 이미지를 상상할 수
있다.
심상의 힘 탐구하기
두뇌에는 근육을 직접 통제하는 운동 피질이 있다. 그러나 모든 심상 훈련이 이곳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생각을 만들어 내는 곳이 있는 것처럼 보다 상위 명령 기능을 수행하는 영역들이 관여
한다. 그 영역은 신경계나 운동 피질 영역보다 고등 수준에 존재하며, 그 부분에서 운동 피질을 비롯
한 기타 하위 두뇌 영역으로 강화된 신호가 전달되어 근육이 강화된다. 예를 들어, 팔꿈치 근육을 강
화시키고 싶다면 팔뚝을 탁자 아래에 두고 그 팔을 매우 강하게 들어 올린다고 머릿속으로 생각하거
나, 팔이 굉장히 무거운 물건을 들고 있고 그 물건을 밀어낸다고 상상하면 근육이 강해질 수 있다.
심리 신경근 이론에 따르면, 심상을 하는 동안 뇌와 근육에는 실제 동작을 할 때와 매우 유사한 전
기 자극이 발생한다. 즉, 어떤 동작을 마음속에서 아주 생생하게 떠올리면 실제로 몸을 움직일 때와
비슷한 양상으로 신경 자극이 근육에 전달되어 ‘근육의 운동 기억’을 강화시킨다.
스포츠에서 심상은 어떠한 형태로 활용될까?
일상생활에서 심상을 어떤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68 Ⅱ. 체육과 과학 02. 체육의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69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69 2018-07-19 오후 3: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