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5 고 체육탐구
P. 75









⑵ 리더십

리더십이란 집단이나 팀의 리더가 구성원을 이끌고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영향 바람직하지 않은 리더 유형
 타고난 리더: 훌륭한 리더는 타고나
력을 발휘하는 총체적 행동 과정을 말한다.
는 것이 아니다. 특정 상황에서 효과
적인 리더가 되기 위해 자신의 기술,
지식, 전략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
효과적인 리더십 요인
하다. 리더십은 발전 가능한 기술이
며,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훌륭한 리더는 공통적으로 지능, 적극성, 자신감, 설득력, 융통성, 내적 동기, 성공 성취동  열광적인 리더: 리더는 스포츠 상황
리더의 기, 내적 통제 능력, 낙관성 등이 높은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은 훌륭한 리더가 에서 선수들이 좋은 분위기를 가지도
특성 록 격려해야 하지만, 전략이나 해결
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 충분조건은 아니다.
책 없이 시종일관 응원만 하는 리더
는 치어리더에 불과하다.
 정형화된 리더: 훌륭한 리더에게 통
리더십 스타일은 크게 권위적 스타일과 민주적 스타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직한 리더십
리더십 스타일은 주어진 상황에 가장 적합한 스타일로 바꾸어 가면서 절충된 리더십 스타일을 보 찰력을 얻을 수는 있지만 그대로 모
스타일 방할 수는 없다. 성공적인 수행을 보
이는 것이다.
장하는 정형화된 리더십은 존재하지
않으며, 정형화된 리더십은 리더와
선수 간의 상호 작용을 고려하지 않
리더는 주어진 과제, 스포츠 유형, 팀 크기, 시간 제약, 전통 등 특별한 상황과 환경에 민감 는 한계를 갖는다.
상황 요인
하게 대처해야 한다.



구성원 리더가 구성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처럼 구성원의 성별, 기술 수준, 성격, 연령, 경력
특성 등의 구성원 특성은 리더십에 영향을 미친다.





▲ 축구 팀의 리더인 감독이 지시하는
장면






훌륭한 스포츠 팀에는 훌륭한 리더가 있다! 분석하기, 적용하기

우리나라 야구 팀이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화려한 성적을 거두면서, 김인식 감독의 리더십이
장안의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절대 넘침이 없는 시기에 선수를 교체하고, 코치들의 권한을 극대화한 위임
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에서 놀라운 성과를 올린 그는 성공 CEO의 모델로 극찬을
받았다.
하지만 스포츠 종목의 감독이라는 자리는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는 자리이다. 우선, 스포츠 감독은 해야
할 일이 많다. 팀 선수들의 조직을 극대화해야 함은 물론이고, 상대 팀에 대한 치밀한 연구와 경기 외적인 관
리에 이르기까지 리더가 해야 할 일은 일일이 나열할 수가 없다. 경기 순간순간이 선택의 연속이며, 선수 기
용 또한 그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감독만의 권한이자 책임이다. 그래서 감독은 외롭다. 경기가 끝났다고 모
든 것이 끝난 것이 아니다. 경기에 이겼다고 하더라도 교훈을 찾아야 하고, 패배한 경기는 그 원인을 분석하
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승리를 하면 그 결과는 선수들에게 돌아가지만 패하면 그 책임은 고스란히 감
▲ 김인식 전 야구 감독
독의 몫이다. 그래서 어떤 종목을 막론하고 훌륭한 팀에는 반드시 훌륭한 지도자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스포츠둥지, 2010. 1. 21.
훌륭한 스포츠 리더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자질을 더 찾아보자.




72 Ⅱ. 체육과 과학 02. 체육의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7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73 2018-07-19 오후 3:15:37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