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4 고 체육탐구
P. 74
2. 스포츠 활동과 집단 심리 요인
단체 종목에서 응집력과 리더십 등의 집단 심리는 스포츠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⑴ 응집력
응집력의 다차원적 특성 집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구성원이 사회적, 과제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역동적인
과제 응집: 4강 진출, 리그 우승 등 구
성원들이 공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힘 또는 관계를 말한다.
뭉치는 것을 말한다.
사회 응집: 훈련 외의 시간에 구성원 ❶ 팀 응집력의 발달
과 어울리거나 대소사에 참여하는 등
집단의 구성원끼리 같이 지내는 것을 스포츠 팀의 응집력은 환경, 리더십, 팀, 개인의 영향을 받는다.
좋아하는 정도를 말한다.
환경 요인 근접성, 독특성
리더십 요인 리더십 행동 및 유형, 리더와 선수들 간의 관계
스포츠 팀
응집력
팀 요인 팀의 위치, 지위, 규범
개인 요인 개인들 간의 유사성, 만족도, 팀 수행에 전념하는 정도
❷ 팀 응집력 향상 전략
팀 응집력은 다음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때 향상된다.
역할 확인 수용 리더십 기준의 수용 어울리기
팀 구성원은 자신의 역할을 정확 팀 리더의 행동은 응집력에 영향 팀의 과제 규범, 사회 규범을 잘 구성원이 서로 가깝게 지낸다.
히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을 미친다. 지킨다.
독특성 헌신 목표 설정 협동
팀의 독특성은 응집력을 높인다. 중요 선수가 팀을 위해 헌신할 때 목표를 설정할 때는 구성원들 모 팀 구성원 간의 협동은 응집력을
응집력이 커진다. 두가 참여한다. 향상시킨다.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분석하기, 적용하기
사회적 태만이란 집단 속에서 개인의 동기 수준이 낮아져 자신이 갖고 있는 능력보다 적게 노력하
는 현상을 말한다. 링겔만(Ringelmann)은 1인, 2인, 3인, 8인이 밧줄을 당기는 실험을 하였다. 링겔
만은 집단 내에서 개인의 수행 감소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예상하였다. 즉, 3인이 당기면 300%,
8인이 당기면 800%의 힘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나 실험 결과 개인별 힘의 양은 2인이
당겼을 때 93%, 3인일 때 85%, 8인일 때 49%의 힘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의 크기가 커질
수록 개인별 노력이 줄어든 것이다.
스포츠 경기에서 사회적 태만은 어떤 양식으로 나타날까?
스포츠 경기에서 사회적 태만을 방지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72 Ⅱ. 체육과 과학 02. 체육의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73
체육탐구제풀본-0726.indb 72 2018-07-19 오후 3: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