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2 고 윤리와 사상
P. 172
인간의 삶의 지향 목표 인간은 사회생활을 통해 각자가 중시하는 가치와 이상
사회와 관련된 많은 생각들을 교류하면서 살아왔다. 이러한 사회적 교류는 타인과
의 대화나 토론, 협상과 협력 등의 의사소통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회 구성원들 간
의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분업화와 전문화가 고도로 이루어진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교류는 점차 확대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교류 방식 또한 복잡해 05
✽
✽사회적 인간관계 지고 있다. 인간이 삶에서 지향하는 중요한 목표는 사회적 인간관계를 통해 자신
사회 속에서의 다양한 인간관계
의 정체성을 형성하면서 다른 사람들과 친밀하고 협동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는 사람들 사이에 갈등과 고통
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 풍요롭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만, 만족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인간이 지향하는 행복한 삶은 인간의 존엄성, 자유, 평등, 책임, 의무 등 인류의 보
원천이 되기도 한다. 다른 사람
과의 사회적 관계에서 서로 신 편적 가치의 실현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들은 수많은 사회사상에서 다 10
뢰하고 사랑과 애정을 주고받을 룬 주요 내용이기도 하다. 우리는 인간이 지향하는 행복한 삶을 보장하기 위해 제시
때, 우리는 행복감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되었던 사회사상들을 탐구함으로써 바람직한 사회 구조와 제도들을 살펴볼 수 있다.
사회사상의 특징과 지향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사회사상의 특징 인류의 역사에서 등장한 다양한 사회사상은 인간의 사회적 삶
에 대한 지식을 체계화한 것이다. 복잡한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사회사상은 이론적 15
측면에서 사회적 삶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보여 준다. 또한, 실천적 측면에서 현실
사회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새로운 이상 사회로의 변혁을 모색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회사상의 성격은 보수주의와 진보주의로 구분할 수 있다. 보수주의
는 현 체제의 존속과 사회 질서의 유지를 강조하는 데 비해 진보주의는 현 체제의
변혁과 새로운 질서로의 변화를 강조한다. 이러한 사회사상의 성격은 시대의 흐름 20
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대 시민 혁명기의 자유주의는 진보주의의 성
향이 강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보수주의로서 기능하고 있다.
사회사상의 지향 목표 사회사상이 지향하는 목표 중
하나는 현실 사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사회 발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5
사회사상은 기존 사회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이루기 위한 사회 구성원들의 역할과
의무를 안내해 준다. 또한, 사회사상이 지향하는 궁극적
목표는 사회 구성원 모두가 행복하게 살아가는 이상 사
회를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사상은 바람직한 이상 30
사회를 이루기 위한 사회 구성 원리와 사회 제도를 기획
한다. 이와 같이 자유주의, 공화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 시민 혁명기의 자유주의 기존 사회 체제에 대항하면서 변혁을 통해 사회
질서를 새롭게 바꾸려는 진보주의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이와 반대로 보 등 다양한 사회사상은 바람직한 이상 사회와 그 실현 방
수주의는 전통 가치를 옹호하고, 기존 사회 체제의 유지와 안정적인 발전을
추구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법에 주목한다.
170 Ⅳ. 사회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70 2018-08-06 오전 11: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