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6 고 윤리와 사상
P. 176










는 데 비판적 준거를 제공한다.
역사적으로 이상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은 대부분 실패에 그쳤다. 그
이유는 이상 사회 자체가 비현실적인 낙관주의에 근거할 뿐만 아니라, 그

실현 방법 역시 비현실적인 것이었기 때문이다.
오늘날 이상 사회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관점과 방법으로 한 시대를 살 05

아가는 사람들의 염원을 반영하고 있다. 그래서 이상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청사진에는 현실 사회에 대한 비판과 발전 방향, 바람직한 이상 사회 등 도
덕적·사회적 지향점에 대한 논의가 포함되어 있다.

우리는 현대 사회를 분석하고 조망하는 다양한 사회사상의 비판적 주장
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비판적 주장을 성찰하고 10
사회 개혁의 지침으로 삼을 때 보다 나은 사회를 만들어나갈 수 있기 때문

Q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해결해야 할 당 이다. 우리가 추구하는 이상 사회는 한 사람이나 하나의 사상에 의존하기보
면 과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다 여러 가지 사상의 관점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때 그 실현 가능성이 더욱
커질 것이다.




비교하기, 성찰하기
쟁 동서양 이상 사회론의 지향 목표는 무엇인가?
쟁점 토론점 토론

❖ 다음 사상가들의 이상 사회론을 읽고 토론을 통해 제시된 과제를 수행해 보자.

(가) 밭을 돌보아 주고 세금 거두는 것을 가볍게 하면 백성을 부유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철에 맞추어 먹고 예에
맞게 소비를 한다면 재물을 이루 다 쓰지 못할 정도가 될 것이다. 성인은 천하를 다스림에 있어서 콩과 조 같은
곡식을 물과 불처럼 풍족하게 있도록 한다. 콩과 조가 물과 불처럼 풍족한데도 백성 중에 어떻게 어질지 못한 자
가 있겠는가? - 『맹자』, 진심 상 편

(나) 개인은 타인과의 공동 관계에서 비로소 그의 자질을 다방면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게 된다. 그리고 공
동 관계 속에서 비로소 인격적 자유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지금까지 형성된 국가라는 공상적 공동체는 언제나
다른 계급에 대립하는 한 계급의 결합이었으며, 피지배 계급에게는 하나의 새로운 족쇄였다. 각 개인들은 참되
고 현실적인 공동체 속에서 지배 계급에 맞선 결사를 통해 자유를 획득할 수 있다.
- 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


위에 제시된 이상 사회론의 도덕적·사회적 지향 목표를 정리하여 발표해 보자.
구분 도덕적 지향 목표 사회적 지향 목표
(가) 사상
(나) 사상


위에 제시된 이상 사회론이 시사하는 현대 사회의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해 보자.

(가) 사상

(나) 사상


174 Ⅳ. 사회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74 2018-08-06 오전 11:37:46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