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9 고 윤리와 사상
P. 179










2-1 국가의 기원과 본질에 대한 관점 •국가의 개념
학습 요소

•국가의 존재 근거
학 습 •국가의 개념과 국가 존재의 근거에 대한 주요 사상가의 주장을 비교할 수 있다. •동서양의 다양한 국가관
목 표 •여러 사상가들이 주장하는 다양한 국가관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자기가 바라지 않는 일을
국가의 기원과 본질은 무엇인가?
남에게 시키지 말아야 한다.
인류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국가를 형성해 왔으 이렇게 하면 집에서도
나라에서도 원망이 없다.
며, 개인은 국가 속에서 그 국가와 일정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왔다. 오늘날 우리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특정 국가의 구성

05 원인 국민이 되어 살아간다. 그렇다면 국가란 무엇이며, 그것은 어
떻게 생겨난 것일까?



하늘이 백성을 도와 군주를 세우고 스승을 세운 것은 상제(하늘)를 도와
세상 백성을 사랑하고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다. - 『서경』, 태서 상 편


동양의 유교 사상가들은 일반적으로 국가의 기원을 가족 공동체의 확장으로 이
해하였다. 즉, 인간의 삶이 부모와 자녀 간의 사랑을 기초로 한 가족 공동체에서 출

10 발하며, 이러한 가족이 확장된 것이 곧 국가라는 입장이다. 유교에서 말하는 국가는
가족 공동체 의식에 바탕을 둔 정치적 공동체이다.

한편, 근대 이전 서양에서는 국가란 구성원의 운명 공동체이자 도덕 공동체로 간
주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공동체를 이루려는 성
향을 가지고 있다. 인간이 최초로 형성하는 기본 공동체는 가족이다. 가족은 물질적
15 ·윤리적 생활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구성원의 더 나은 삶을 보장하는 데

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한 까닭에 여러 가족이 결합하여 촌락을 이루고, 다시 여러
촌락들이 결합하여 국가라는 최고의, 가장 완전한 공동체를 형성한다. 개인은 공동

체 속에서 생활하며,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가치와 역사를 공유하고, 공동체가 부여
하는 삶의 목적 등에 끊임없이 영향을 받으며 삶을 구성하는 존재로 이해하였다.
20 서양 사회가 근대 사회로 진입하면서 사회 계약론이 등장하였다. 홉스는 인간이 ✽사회 계약론

홉스, 로크, 루소로 대표되는 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과 같은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회 계약을 맺으
대의 사회사상으로, 근대 시민
면서 국가가 발생하였다고 보았다. 반면에 로크는 자연 상태에서 인간은 자연법의 사회 성립에 기여하였다.

지배를 받으며 비교적 평화로운 삶을 누리지만 개인의 기본권을 더욱 확실하게 보
장받기 위해 사회 계약을 통해 국가를 구성한다고 보았다.
25 근대 이후 개인의 자유와 권리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인간은 스스로 삶의 목적을

선택하는 주체로 여기게 되었으며, 국가를 점차 개인의 이익 보존을 위한 결사체로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국가는 점차 개인의 삶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

으로 이해되었다.
2. 목적인가, 수단인가? 17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77 2018-08-06 오전 11:37:47
   174   175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