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1 고 윤리와 사상
P. 181










동의 이익을 구현하는 ‘공공의 것’이며, ‘인민의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또한, 개인의
이익보다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시민의 정치적 연대에 의해 국가가 발생하였으
며, 개인은 국가 공동체의 일원인 시민이 되었을 때 비로소 자기를 실현할 수 있다

고 본다.
공화주의의 대표적 사상가인 루소는 그의 저서 『사회 계약론』에서 일반 의지라는

05 개념을 제시하였다. 일반 의지는 공동체의 공동선을 향한 의지로서, 공동체 구성원
개개인의 의지의 총합과는 구분된다. 루소는 공화주의에서의 시민이란 개인의 자유
가 오로지 자유로운 공동체 안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

해 자신의 절대적 자유만을 고집하지 않는 존재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10 마르크스의 국가관 마르크스는 역사적으로 생산자의 노동을 타인이 착취함으로
써 사회에 계급이 발생하였고, 계급의 발생과 더불어 국가가 성립한 것으로 보았다.
즉, 국가란 지배 계급이 피지배 계급을 통제할 목적으로 만든 것으로서 지배 계급의

권력을 유지하고 그들의 재산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나타난 조직 형
태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15 마르크스는 근대 이후 등장한 자본주의 사회를 자본을 축적한 자본가 계급이 노
동자 계급을 지배하는 구조로 이해하였다. 이러한 지배 구조 속에서 노동자
계급은 통제 대상이며, 국가는 자본가 계급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조직 형태
▲ 마르크스(Marx, K., 1818~1883) 공산주의
라는 것이다. 따라서 한 계급이 다른 계급을 더 이상 지배하지 않는 공산 사회 혁명가, 역사학자, 경제학자, 철학자이다.
대표 저서는 『자본론』이며, 엥겔스와 공동
가 도래하면, 국가는 더 이상 불필요하기 때문에 사라질 것으로 보았다. 집필한 『공산당 선언』이 있다.


탐구 비교하기, 성찰하기
활동
국가란 무엇인가?

(가) 입법자들이 인민의 재산을 빼앗고자 기도할 경우 또는 인민을 자의적 권력하에 놓인 노예로 만들고자 할 경우,
그들은 스스로 인민과의 전쟁 상태에 몰아넣는 것이며, 인민은 더 이상의 복종 의무로부터 면제된다. 입법부가
야심, 어리석음 또는 부패로 인민의 생명, 자유 및 재산에 대한 절대적인 권력을 자신들의 수중에 장악하거나 아
니면 다른 자들의 수중에 넘겨줌으로써 사회의 기본적인 규칙을 침해하게 되면 그들은 인민이 그것과는 상반된
목적으로 그들에게 맡긴 권력을 신탁 위반으로 상실하게 된다. - 로크, 『통치론』

(나) 나는 자연 상태에서 인간 생존에 해로운 장애물들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여 인간의 힘을 능가해 버린 시점을 가정
해 본다. 그렇게 되면 그러한 원시 상태는 더 이상 존속할 수 없게 되고 인류는 그의 존재 양식을 바꾸지 않으면
멸망하고 말 것이다. ……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단결하여 그러한 장애물의 힘을 이겨 낼 힘의 총화, 즉 사회
계약에 이르는 방법 외에 다른 방법은 없다. …… 모든 공공의 힘으로부터 각 구성원의 신체와 재산을 방어하고
보호해 주는 연합의 형태, 그리고 각 개인은 전체와 결합되고 자유로울 수 있는 그런 연합의 형태를 발견하는 것
이 사회 계약이 해결해야 할 근본 문제이다. - 루소, 『사회 계약론』

활동 1 (가)와 (나)는 공통적으로 국가의 성립 근거를 무엇에 두고 있는지 말해 보자.
활동 2 (가)와 (나)가 주장하는 국가의 의미와 그 역할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2. 목적인가, 수단인가? 17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79 2018-08-06 오전 11:37:49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