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2 고 윤리와 사상
P. 182










2-2 국가의 역할과 정당성에 대한 동서양 사상 학습 요소
•국가의 역할
•국가의 정당성
학 습 •국가의 역할과 정당성에 대한 동서양 주요 사상가의 주장을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국가
목 표 •현대 국가의 역할과 정당성에 대해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동양의 사상가들은 국가의 역할과 정당성을 어떻게 이해하였는가?
백성은 귀하고 군주는 가볍다.
군주가 백성의 삶을 안정시키지 동양의 유교 사상가들은 국가의 역할을 민본주의를 통해 설명하였다. 민본주의는
못하면 바꿀 수 있다.
백성을 근본으로 우선시하는 정치 이념을 말한다. 따라서 국가의 역할과 정당성은
군주와 백성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먼저 국가는 백성의 경제적인 삶을 보장하고 일정한 생활 근거를 마련해 주어야 05

한다. 덕치를 강조하면서 “군주는 무엇보다 민생을 안정시키는 일에 주력해야 한다.”
라는 공자의 말이나, “만약 백성이 일정한 생활 근거가 없으면, 일정한 마음도 없게 된

다.”라는 맹자의 말을 통해 국가의 역할에서 경제적 측면을 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국가는 백성의 도덕성을 함양하고 덕을 기르는 역할을 해야 한다. 맹자

는 인의(仁義)의 덕으로써 다스리는 왕도 정치를 강조하였다. 맹자에게 올바른 정 10
맹자 치란 형벌을 줄이고 세금을 가볍게 하여 민생을 안정시키고, 나아가 백성들에게 사
람의 도리를 가르쳐 인간다운 삶을 살게 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국가는 더 좋은 삶을 위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덕치(德治)
이를 위해 순자는 예(禮)의 기능을 강조하면서, 사회 구성원 각자가 맡은 본분(本
군주가 백성을 법령이나 형벌로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도덕과 分)을 지키고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예를 도덕규범의 원천이자 국 15
예의로 백성을 가르쳐 따르게
가 통치의 표준으로 삼았다.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체로 동양의 유교 사상가들은 민본주의에 바탕을 둔 도덕 정치에서 국가의 역
✽왕도 정치(王道政治)
할과 정당성을 찾았다. 공자는 무엇보다 백성의 신뢰를 강조하면서 민의가 반영된
맹자가 주장하는 유교의 도덕적
이상 정치를 말하며, 권력을 바 도덕 정치에서 국가의 정당성을 찾았으며, 맹자는 왕도 정치의 이상을 말하며 국가
탕으로 백성을 힘으로 통치하는
의 역할을 민생 안정과 도덕성 함양에 두고 백성의 인간다운 삶에서 국가의 정당성 20
패도 정치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을 찾았다.


서양에서 국가의 역할과 정당성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한편, 서양의 전근대 사회에서는 국가를 그 구성원의 정치 공동체 또는 시민 공동

체로 이해하고, 국가는 공동체 구성원의 도덕적 가치를 함양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
다고 보았다. 25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정치적 존재 또는 공동체적 존재로서 이해하고,
공동체의 삶 속에서 국가의 정당성을 찾았다. 그는 국가의 존립 근거와 정당성은 공
동체 구성원의 물질적 자족뿐만 아니라, 그들이 도덕적 삶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고 규정하였다.

180 Ⅳ. 사회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80 2018-08-06 오전 11:37:49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