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8 고 윤리와 사상
P. 168
쟁점으로 보는 사회사상
쟁 점
1 유교의 ‘대동 사회’인가, 도가의 ‘소국과민’인가?
큰 도(大道)가 행해지는 천하는 공공의 것이다. 어질고 나라는 작고 백성은 적다. …… 비록 배와 수레가
능한 인물을 선택하여 천하를 다스리게 하고 신의를 있어도 탈 일이 없으며, 갑옷과 병기가 있어도
가르치며 화목하게 지낸다. 펼칠 일이 없다.
유교의 대동 사회 대동 사회는 이상적인 성인이 노자의 소국과민 소국과민은 자연에 순응하
다스리고, 모든 사회 구성원이 가족과 같은 친밀한 며 소박한 삶을 살아가는 촌락 공동체로서 전
관계를 맺으며, 누구나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 쟁과 굶주림, 군주의 가혹한 통치가 없는 이상
복지와 도덕이 실현된 사회이다. 사회이다.
쟁 점
2 국가는 ‘목적’인가, ‘수단’인가?
국가란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한 정치 공동체이다. 따 국가란 개인의 생명, 자유, 재산 등을 지키기 위
라서 국가의 궁극적인 목적은 구성원들이 다양한 덕의 한 수단이다. 그 때문에 만약에 국가가 국민
실천을 통해 도덕적으로 살아가도록 하 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면, 국민은 저항권
는 데 있다. 을 행사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관 국가는 구성원들 로크의 국가관 개인은 자연법에 따른 권리의
의 정치 공동체이므로, 구성원들이 도덕적인 주체로서 자신의 자유를 정당하게 행사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바람직한 덕성을 가르 할 수 있으며, 국가는 개인의 생명과 자
쳐야 하며, 교육의 기회를 균등하게 부여해야 유,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삶을 살게
한다. 할 의무가 있다.
쟁 점
3 ‘개인선’이 우선인가, ‘공동선’이 우선인가?
개인은 자연권을 가진 존재이며, 국가는 개인의 권리 공공선, 즉 사회 공동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생
를 보장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다. 각하는 일반 의지가 지배하는 사회가 정의 사
회이다.
홉스의 자연권 사상 인간의 자유와 권리를 강조 루소의 공화주의 국민의 일반 의지에 따라 통
하는 자연권 사상은 이후 근대적 시민 국 치되는 국가를 공화국으로 규정하고 공익에
가를 형성하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대한 책임과 의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166 Ⅳ. 사회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66 2018-08-06 오전 11:3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