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고 윤리와 사상
P. 163
듀이는 민주 사회의 중요한 필수 조건으로 구성원들의 지성을 강조하였다. 전통
적으로 강조해 온 이성은 영구불변의 진리를 전제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이성은 지
적 활동의 주체로서 인간을 수동적인 관람자로 제한한다. 그러나 변화에 적응하는
역동적 능력인 지성을 통해 비로소 인간은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참여자로 변모할
05 수 있다는 것이다.
정직, 근면, 절제, 정의와 같은 도덕적 가치들은 건강, 부, 배움과 마찬가지로 고정된 채
소유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다. 그것들은 경험의 질적인 변화의 방향들이다. 성장 자체가 유
일한 도덕적 ‘목적’이다. - 듀이, 『철학의 재구성』
특히 그는 현실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조적 지성을 통해 기존의 관 ▲ 듀이(Dewey, J., 1859~1952)
10 행이나 이론에 안주하는 것을 넘어 적극적인 사회적 실천으로 새로운 대안을 모색
할 것을 강조하였다. 듀이의 이러한 실용주의 사상은 윤리 사상뿐만 아니라 교육 철
학과 민주주의로 확장되어 오늘날까지 미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철학과 실용주의란 무엇인가?
고전
실용주의란 관념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것이 어떤 것인가를 쉽게 알 수 있다. 실용주의란 말은 그리스어 ‘프라그
마(pragma)’, 즉 ‘행동’이란 말에서 나온 것이다. 영어의 ‘실천’ 또는 ‘실제적’이라는 말도 같은 말에서 연유한 것이
다. 이 사상이 지니는 의의는 오직 ‘행위’뿐이라는 것이다.
철학이란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인생의 심오한 뜻이 진정 무엇인가?’에 관한 우리의 형용할 수 없는 느낌이다.
따라서 책에서 얻을 수 있는 철학이란 극히 적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즉, ‘이 우주의 전체적인 움직임과 모습
을 각자가 어떻게 보고 느끼는가?’ 하는 것이 철학이다.
철학은 우리 인간이 추구하는 것 가운데서 가장 고상한 것인가 하면 또 동시에 가장 부질없는 것이기도 하다.
철학은 골짜기를 헤치고 흘러나오는 것인가 하면 동시에 가장 넓은 전망을 열어 주는 것이기도 한다. 철학이 “빵을
굽지 못한다.”라는 것은 이미 들어온 이야기지만, 철학은 우리 정신에 용기를 북돋워 주는 것이다.
철학적 태도로 말하자면 실용주의는 우리와 친숙해진 태도, 즉 경험론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 실용주의자들
은 철학가들이 지녔던 여러 가지 만성적 병폐에 대해 결연히 등을 돌린다. 그들은 추상적이고 불충분한 것, 말뿐의
해석, 옳지 못한 선천적 이성, 고정된 원리, 폐쇄적 사상 체계, 그럴싸한 절대나 근원 같은 것들은 거들떠보지도 않
는다. 그들은 구체적이고 완전한 것, 사실, 행동과 힘 같은 것들에만 관심을 둔다. 말하자면 경험론자의 기질이 우
세하고 합리론자의 그것은 저버렸다는 것이다. 도그마, 인위적인 것, 궁극적 진리를 내세우는 일 같은 것은 저버리
고, 확 트여진 것,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자연 같은 것을 좋아한다.
- 제임스, 『프래그머티즘』
현대 사회에서 실용주의 사상은 우리의 삶에 어떤 가치를 제공하는지 생각해 보자.
7. 주체적 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16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61 2018-08-06 오전 11:3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