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고 윤리와 사상
P. 161
7-2 실용주의와 문제 해결의 유용성 학습 요소
•실용주의의 의미
•실용주의의 특징
학 습 •현대의 실용주의가 주장하는 윤리적 입장을 이해할 수 있다. •실용주의의 현대적 의의
목 표 •실용주의가 현대인의 윤리적 삶에 기여하는 바를 설명할 수 있다.
실용주의란 무엇인가?
19세기 후반 미국에서 등장한 실용주의란 현실에서 실질적 쓸모가 있는 이론이
진리라는 발상이다. 어떤 이론이 논리적으로 아무리 훌륭하고 완벽하다고 할지라도
인간의 삶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면 참된 지식이 될 수 없다는 사상이다. 따라서 실
05 용주의 입장에서 볼 때 윤리 사상은 우리가 당면한 구체적인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
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
공리주의로 대표되는 결과론이 쾌락을 증진하고 고통을 감소하는 효용성의 원칙
▲ 퍼스(Peirce, C. S., 1839~1914)
을 강조한 것과 유사하게 실용주의는 지식 또는 이론이 현실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 미국의 실용주의 사상가로 우리
가 신념을 확정하는 방법을 다음
하고 사회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고집
10 실용주의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는 퍼스는 어떤 사상이 진리가 되기 위해서는 단순 의 방법, 둘째 권위의 방법, 셋째
선험적 방법, 넷째 과학의 방법
히 사실과 일치하거나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는 정도를 넘어서 반드시 쓸모가 있 이다. 선험적 방법은 추상적인
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론에 의존하는 것이고, 과학적
방법은 실용주의에 입각하여 ‘현
어떤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는 그 명제를 실제로 실험해 본 결과 쓸모가 있다는 금 가치(cash value)’, 즉 현실적
실효성을 지닌 방법을 말한다.
것이 입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실험주의로 일컬어지기도 하는 퍼스의 이러한 실
15 용주의 준칙(pragmatic maxim)은 이론을 유용한 결과를 얻기 위한 도구로 간주한
다. 이 점에서 실용주의는 ‘아는 것이 힘’이라는 지식에 대한 도구주의 입장을 가장
간결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론이란 머릿속에서가 아니라 구체적인 실험의 방식을 결
정하고 동시에 그 결과를 통해 실증되어야 참이 되며, 만일 실험을 통해 입증되지
않는다면 무의미한 것이다.
20 실용주의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실용주의는 남북 전쟁으로 인해 유럽의 선진 국가에 비해 산업화가 더욱 뒤쳐진
미국 사회가 남부와 북부의 이념적 갈등을 치유하며 신속한 경제 발전을 도모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결과를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많은 오해를 사기도
하였다.
25 각각의 책 속에서 이러한 용어들의 현금 가치를 뽑아내야 한다. 그래서 그 용어를 당신의
경험의 흐름 속에서 작동하게 하라! - 제임스, 『프래그머티즘』
‘현금 가치’라는 용어에서 보듯 실용주의 윤리 사상은 돈이나 재물처럼 경제적 가
치와 직접 연관된 말들을 사용함으로써 천박한 사상이라는 오해를 받았다.
7. 주체적 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15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9 2018-08-06 오전 11:3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