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5 고 윤리와 사상
P. 165











해답 219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현대의 ( ㉠ )는 자기 책임하에 실존적 삶을 추구하고, ( ㉡ )는 구체적인 문
제 상황에서 최선의 해결책을 지향한다. 실존주의에서는 구체적 상황에서 개인
주요 용어ㆍ개념 의 ( ㉢ )을 요구하고, 실용주의에서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 ㉣ )을 통해 새로
운 대안을 모색할 것을 강조한다.
계몽사상
문화 다원주의
실존주의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실용주의
1) 실존주의는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윤리 법칙이 아니라 개인
주체적 존재
이 처한 구체적인 맥락을 강조하였다.
주체적 결단
2) 실용주의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최선의 해결책을 통해 인간의 삶을 풍요
도구주의 롭게 할 것을 주장하였다.
창조적 지성 3) 사르트르가 주장한 실존주의는 과학적 방법론을 넘어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으로, 나아가 교육 철학과 민주주의 전반으로 확장되었다.
4) 듀이는 이성을 통해 영구불변의 진리를 추구하는 입장을 보였다.

핵심 내용 정리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1 실존주의와 실용주의
1) 실존주의 ㉠ 관념의 진리성은 실제로 하나의 사건, 또는 하나의
근대 계몽사상 과정, 즉 그 자신을 검증하는 검증화의 과정이다.
<인간 중심주의 사상>
2) 실용주의 ㉡ 인간은 우선 실존하고 그 후에 스스로 자유로운 선
산업 혁명 택과 결단을 통하여 자기 자신을 만들어 나간다.

인간 소외와 비인간화
<인간 이성에 대한 회의>
4 실존주의와 실용주의의 윤리 사상을 비교해 보자.
문화 다원주의
실존주의 실용주의 실존주의 실용주의
(주체적 결단과 (문제 해결의
자율성 강조) 유용성 강조)
주장
사르트르 퍼스
키르케고르 제임스
하이데거 듀이
특징


개인의 정체성 과학적 방법론
회복과 삶의 근 민주주의 전반
본적 의의 성찰 으로 확장

5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1) 실존주의의 등장 배경과 현대적 의의는 무엇일까?


2) 현대의 실용주의는 우리의 삶에 어떤 도움을 주고 있을까?




7. 주체적 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16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63 2018-08-06 오전 11:37:32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