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2 고 윤리와 사상
P. 162
또한, 실용주의는 결과만 좋다면 거짓이나 비윤리적 행위조차 용납하는
것으로 오해되었다. 거짓이 좋은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없는 것은 너무나도
자명하지만, 단기적 관점에서 일시적으로 좋은 결과를 가지고 오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실용주의자들은 어떤 명제의 참과
거짓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05
한 관념의 진리성은 그 관념 속에 내재된 붙박이의 속성이 아니다. 그 관념이
진리로 나타난 것이다. 그 관념이 참이 되는 것이요, 그 관념이 사건들에 의해 참인
것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 관념의 진리성은 실제로 하나의 사건, 혹은 하나의 과
정, 즉 그 자신을 검증하는 검증화(verification)의 과정이다.
- 제임스, 『프래그머티즘』 10
가령 낯선 숲 속에서 길을 잃은 사람을 생각해 보자. 그는 한동안 홀로
헤매다가 땅에서 소 발자국을 발견하였다. 이때 그가 ‘이 소 발자국을 따
라가면 인가가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 생각은 그 자체로는 의
미가 없다. 그러나 그 소 발자국을 실제로 따라가 보니 인가가 나타났을
때, 즉 검증되어 실제로 효과를 얻었을 때 그 생각은 참이 되는 것이다. 15
실용주의는 현대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실용주의 사상은 듀이를 통해 과학적 방법을 넘어 윤리 사상과 사회사상으로 발
전하였다. 듀이는 도덕이 사회라는 구체적 현실 속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주목
하면서 도덕을 다음과 같이 포괄적으로 설명한다.
도덕은 다른 사람과 관련된 행동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비록 행동을 할 당시 그 행 20
동의 사회적 관련성을 생각하지 않고 한 행동이라도, 우리의 모든 행동은 잠재적으로 도덕적
행동이라고 보아야 한다. ……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인격 특성 중 어떤 것은 우리의 대인 관계
에 아주 명백한 관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우리는 특히 ‘도덕’이라고 강조한다.
성실, 정직, 정절, 우애 등이 그런 것들이다. - 듀이, 『민주주의와 교육』
특히 듀이는 전통적인 도덕적 가치관과 과학 기술 시대의 새로운 가치관을 중재
25
하기 위해서 민주 사회에서 철학이 새롭게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의 경제적 성취에 걸맞은 도덕적 진보는 어디에 있는가? 경제적 성취는 물리학에서
이루어진 혁명의 직접적인 결실이다. 그러나 거기에 상응하는 인문학과 예술은 어디에 있는
가? …… 이런 진보는 심각한 새로운 도덕적 혼란을 가져왔다. 최근의 전쟁, 자본과 노동의 문
30
제, 경제적 계급 관계, 새로운 과학이 의학 및 수술에서 놀라운 성취를 이루어 낸 동시에 질병
과 허약함의 원인을 낳고 퍼뜨렸다는 사실만을 인용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다. 이러한 고찰
은 우리의 정치가 얼마나 발달하지 못했는지, 우리의 교육이 얼마나 조악하고 원시적인지, 우
리의 도덕이 얼마나 수동적이고 활력이 없는지를 보여 준다. - 듀이, 『철학의 재구성』
160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60 2018-08-06 오전 11:3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