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0 고 윤리와 사상
P. 160










실존주의 사상이 형성되는 데 큰 영향을 준 것은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이란 ‘지금 여기에 던져진’ 현존재이다. 이러한 인간은 자신
이 ‘죽음에 이르는 존재’임을 알고 항상 불안과 염려 속에 살아간다. 죽음에 대한 자

각을 통해 삶이란 결국 한 번뿐인 유한한 것임을 깨달은 인간은 일상의 삶에서 벗
어나 자신의 진정한 실존을 추구하게 된다는 것이다. 하이데거는 인간이 이렇게 05

자신의 삶을 스스로 기획하고 이끌어 나아가는 능동적 존재자가 됨으로써 진
정한 실존을 추구할 것을 강조하였다.
▲ 하이데거 (Heidegger,
M.,1889~1976) 독일의 철학
자로서, 흔히 실존주의 철학자로 실존주의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알려져 있으나 정작 하이데거 자
신은 그러한 칭호를 거부하였다. 현대의 실존주의 윤리 사상은 근대의 결과론 윤리 사상이나 의무론 윤리 사상처럼
구체적인 행위 지침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복잡해 10
진 사회 구조 속에서 인간이 기계의 부품처럼 수단으로 전락한 채 한없이 무기력해

질 수 있는 상황 가운데 인간의 근본적 존엄성을 말하며 개인으로서 정체성을 회복
하고 인간 스스로 주체성을 상실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실존주의 윤리 사상은

‘나’라는 존재는 단순히 보편적 인간인 것을 넘어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주체적
개인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내 삶의 근본적 의의를 성찰하도록 한다. 15




이해하기, 성찰하기
철학과 카뮈의 소설 『이방인』과 ‘죽음’의 의미
고전

오늘 엄마가 돌아가셨다. 아니 어제였나, 잘 모르겠네. 양로원에서 전보를 보냈다. ‘모친 사망. 내일 장례. 근
조.’ 아무런 의미도 없다. 어쩌면 어제였을 수도. - 카뮈, 『이방인』

소설 『이방인』의 첫 문장은 주인공 어머니의 죽음으로부터 시작한다. 주인
공 뫼르소는 세상일에 별다른 관심이 없다. 심지어 어머니의 죽음마저도 대
수롭지 않게 여긴다. 이러한 무감수성은 현대인의 삶의 모습을 반영한다. 어
머니의 장례식 후에는 여자 친구와 영화를 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다음
날에는 아무런 생각 없이 이웃집 불량배 레몽과 친구가 된다.
며칠 후 레몽이 초대한 해변에서 뫼르소는 레몽을 따라온 패거리 중 한 명
을 총으로 살해한다. 이 사건으로 재판이 시작되고, 법정의 화제는 살인 사
건이 아니라 그가 어머니의 장례에서 슬퍼하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또 주인
공은 자신이 살인을 한 이유를 설명할 때 ‘햇빛이 눈부셔서’라고 증언한다.
주인공은 어머니의 장례 건과 불충분한 자기변호 때문에 계획 살인을 한 무
자비한 인간으로 부풀려져 사형 선고를 받는다. 사형 집행만을 남겨둔 그에 ▲ 카뮈의 소설 『이방인』
게 신부는 고해성사를 요구하지만, 뫼르소는 신부를 꾸짖으며 자신의 죽음
이야말로 자신의 삶과 진실을 증명한다고 외친다.
카뮈는 이 소설에서 인간은 아무리 애를 써도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완전히 알 수 없고, 또 죽음이라는 분
명한 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영원에 대한 환상이나 미래에 대해서 희망을 품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말
하고 있다. 왜냐하면 결국 미래는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가는 죽음을 가져다 줄 것이기 때문이다.


158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8 2018-08-06 오전 11:37:29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