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고 윤리와 사상
P. 155
해답 219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 ㉠ )에서 비롯되는 도덕적 의무를 강
조하는 ( ㉡ )의 관점과 행위의 ( ㉢ )가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가져오게 하
주요 용어ㆍ개념 는지 여부를 고려하는 ( ㉣ )의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무론
선의지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도덕 법칙
1) 의무론은 어떤 행동이 그 결과와 상관없이 그 자체로 옳거나 그르다고 주
정언 명령
장하는 이론으로, 그 대표적인 것이 칸트 윤리이다.
칸트주의
2) 결과론은 결과의 좋고 나쁨을 행위의 도덕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기
결과론
때문에 동기나 행위 자체보다 결과를 중시한다.
양적 쾌락주의 3) 칸트는 행복과 쾌락을 동일시하는 쾌락주의 행복론을 제시하며, 쾌락이
질적 쾌락주의 유일한 선이고 고통이 유일한 악이라고 하였다.
현대의 공리주의 4) 벤담은 이 세상 안에서뿐만 아니라 이 세상 밖에서도 무제한적으로 선하
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선의지뿐이라 하였다.
핵심 내용 정리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1 칸트 윤리
1) 칸트 ㉠ 쾌락의 양만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도
• 선의지: 행위의 동기 중시 고려해야 한다.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2) 벤담 ㉡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양에서만 차
동기가 선악의 기준
이가 날 뿐이다.
• 의무론: 도덕 법칙을 따르
는 것이 의무 3) 밀 ㉢ 도덕 법칙은 가언 명령이어서는 안 되고, 명령 그
• 도덕 명령: 도덕은 수단이 자체가 목적인 정언 명령이어야 한다.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임
(정언 명령) 자율과 인
4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간 존엄성 강조
1) ㉠, ㉡으로 알 수 있는 칸트의 정언 명령 속에 담긴 두 가지 정신은 무엇일까?
• 윤리 사상: 보편주의, 인격
주의 정신 자유 민주주
㉠ “네 의지의 준칙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로서 타당할 수 있도록
의, 인권 사상에 영향
행위하라.”
2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 “너 자신과 다른 모든 사람의 인격을 결코 단지 수단으로만 대하지 말고 언제
나 동시에 목적으로도 대하도록 행위하라.”
벤담 밀
2) 벤담의 공리주의와 밀의 공리주의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일까?
• 쾌락주의: 쾌락 추구, 고통
회피 쾌락은 선이고 고통 •인간관:
은 악
• 공리의 원리: 도덕의 목적은 공통점 •윤리관:
행복 증진 “최대 다수의 최 •도덕 원리:
대 행복”
•벤담의 공리주의:
차이점
양적 쾌락주의 질적 쾌락주의 •밀의 공리주의:
쾌락의 최대화 쾌락의 질 고려
6.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15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3 2018-08-06 오전 11:3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