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0 고 윤리와 사상
P. 150










6-2 결과론과 공리주의 •결과론
학습 요소

•벤담의 공리주의
학 습 •결과론의 입장과 공리주의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밀의 공리주의
목 표 •공리주의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리주의의 현대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현대의 공리주의




결과론이란 무엇인가?

결과론은 옳고 그름을 오로지 행위의 드러난 결과에 따라서만 판단하고자 하는

윤리관이다. 결과론은 옳고 그름을 판단할 때 동기에 대해서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결과론에서 말하는
행복이란 무엇일까? 않는다. 왜냐하면 동기란 내적인 것이어서 객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
문이다. 이 점에서 결과론은 같은 행위 중심 윤리이면서도 동기를 강조하는 의무론 05

과는 다르다.
결과론은 그 행위를 한 사람이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에 대해서도 무관심

하다. 왜냐하면 훌륭한 인격을 가진 사람이라 해서 항상 좋은 행동을 하는 것도 아
니고 성품이 좋지 않은 사람이라고 해서 항상 나쁜 행동만 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
이다. 이처럼 결과론은 행위 그 자체에 주목할 뿐 행위자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는 10

점에서 인격 중심 윤리인 덕 윤리와도 다르다.



공리주의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결과론의 첫 번째 핵심 문제는 ‘좋은 결과란 무엇인가?’이다. 결과론에서 말하는

좋은 결과란 대체로 행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결과론은 목적론적 윤리설 15
과 유사한 면이 적지 않다.

결과론에서 제기되는 두 번째 핵심 문제는 ‘누구에게 좋은 결과인가?’이다. 이 문
제에 대한 답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자기 자신에게 좋은 결과를 낳는 행
위를 옳은 행위로 생각하는 이기주의이다. 둘째는 그 행위와 관련된 사람들의 최대


✽공리주의 행복을 낳는 행위를 옳은 행위로 간주하는 공리주의이다. 셋째는 나보다 다른 사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람에게 좋은 결과를 낳는 행위를 옳은 행위로 간주하는 이타주의이다. 20
기준으로 결과를 중시한다는 점
에서 결과론이고, 쾌락을 기준 자기 행복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이기주의는 개인의 처세술로서는 의미가 있을지
으로 선악을 판단한다는 점에서
모르나 보편적 윤리가 되기는 힘들다. 반면 나의 행복보다 다른 사람의 행복을 우선
쾌락주의이다.
하는 이타주의는 개인에게 과도한 윤리적 요구를 한다는 점에서 보편적 윤리가 되
기 힘들다. 그 결과 모든 사람의 이익을 똑같이 고려하여 ‘최대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공리주의가 결과론의 대표적인 윤리로 간주되고 있다. 25



벤담의 공리주의 대표적인 공리주의자인 벤담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고
자 하는 인간의 자연적 감정을 바탕으로 윤리를 새롭게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 점에서
공리주의는 감정 중심 윤리이다.


148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48 2018-08-06 오전 11:37:22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