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5 고 윤리와 사상
P. 145
1
6-1 의무론과 칸트 윤리 학습 요소
•의무론
•선의지, 도덕 법칙
학 습 •의무론의 입장과 칸트 윤리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정언 명령, 인간 존엄성
목 표 •칸트 윤리의 장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칸트 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칸트주의
의무론이란 무엇인가?
의무론이란 어떤 행위가 그 결과와 상관없이 그 자체로 옳거나 그르다고 주
✽
장하는 이론으로, 대표적인 것이 칸트 윤리이다.
결과론이 좋은 결과, 즉 궁극적으로 우리에게 이익과 행복을 가져오는 행위
05 가 선하고 옳은 행위라고 본다면, 의무론은 우리가 추구해야 할 어떤 궁극적
목적보다는 언제 어디서나 지켜야 할 행위의 근본 원칙에 주목하는 윤리이다.
예를 들어 결과적 좋음과 도덕 법칙, 즉 행복과 의무가 충돌할 경우, 결과론
자가 행복을 선택한다면, 의무론자는 의무를 선택한다고 볼 수 있다. 결과론
자가 행복한 삶과 감각적 경험을 중시하고 현실주의적 경향을 띤다면, 의무론 ▲ 칸트(Kant, I., 1724~1804) 서양 근대 사
상이 지향했던 도덕적 이상을 집대성하였
10 자는 의로운 삶과 합리적 이성을 중시하고 이상주의적 경향을 띤다.
다.
여기서 우리는 결과론과 의무론이 각기 서로 다른 세계관에 입각한 윤리임
을 짐작할 수 있다.
칸트의 윤리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칸트 윤리의 특징
동기주의
✽
선의지 칸트 윤리에서 먼저 주목할 만한 개념은 선의지이다. 이미 유명해진 다
보편주의
15 음 구절을 통해서 우리는 칸트가 도덕에서 무엇을 중시하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인격주의
형식주의
엄숙주의
이 세상 안에서뿐만 아니라 이 세상 밖에서도 무제한적으로 선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오
직 선의지뿐이다. …… 선의지는 그것이 실현하거나 성취한 것 때문에, 또는 이미 주어진 어
✽선의지
떤 목적을 달성하는 데 쓸모가 있기 때문에 선한 것이 아니라, 오로지 그렇게 마음먹는 일 자 인간의 건전한 지성 안에 이미
체로 선한 것이다. - 칸트, 『도덕 형이상학 정초』 깃들어 있으며, 더 이상의 의도가
없이 그 자체로 선한 의지를 말
한다.
20 여기서 우리는 동기를 중시하는 칸트의 입장을 확인할 수 있다. 행위의 선악을 결
정하는 것은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오직 그 행위를 낳은 의지일 뿐이라는 것이다.
칸트가 볼 때, 행위의 결과란 우리 의지의 힘만으로 보장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외적 변수와 우연에 의해 좌우될 수 있으므로 도덕성의 척도가 될 수 없다.
도덕적 선악의 판단은 오직 행위자가 책임질 수 있는 영역인 의지와 관련해서만 내
25 려질 수 있기 때문에, 선의지야말로 도덕적 선의 유일한 근거라 할 수 있다.
칸트는 이러한 선의지가 인간의 내면에 이미 깃들어 있기 때문에 새삼스럽게 가
르칠 필요는 없으며, 단지 그것을 일깨우기만 하면 된다고 말한다. 따라서 우리에게
남은 임무는 이 선의지를 보다 명백하게 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칸트가 도입하는
✽
개념이 바로 의무이다.
6.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14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43 2018-08-06 오전 11:3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