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3 고 윤리와 사상
P. 143
해답 219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옳고 그름을 분별할 수 있는 ( ㉠ )과 타인의 상황에 공감할 수 있는 ( ㉡ )
은 자신의 올바른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원천이 된다.
주요 용어ㆍ개념
르네상스
종교 개혁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자연 과학의 발달 1)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은 서양의 근대 윤리 사상이 등장하는 시대적, 사
자아의 발견 상적 배경이 되었다.
2) 자연 과학의 발달과 자아의 발견은 근대적 사고를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
범신론
이다.
정념
3)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은 도덕의 기초를 감정에 두고 있는 경험론으로 발
공감
전하였다.
합리론
4) 흄의 윤리 사상은 도덕의 기초를 이성에 두고 있는 합리론으로 발전하였
경험론 다.
핵심 내용 정리 3 다음 사상가와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1 서양 근대 사상의 흐름 1) 스피노자 ㉠ 도덕성은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느껴지는 것
이므로, 도덕 문제에서 이성은 감정의 노예일 수밖
중세 사회: 신앙 중심 에 없다.
르네상스 2) 흄 ㉡ 자연 법칙 속에서 인간의 자유 의지는 불가능하지
종교 개혁 만, 이성적 통찰로 인과 관계를 이해하면 정념의 지
근대 사회: 이성 중심 배에서 벗어날 수 있다.
자연 과학의 발달
자아의 발견
4 스피노자와 흄의 윤리 사상을 비교해 보자.
귀납법 연역법
(경험과 관찰) (이성적 추론)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 흄의 윤리 사상
특징
경험론 합리론
(흄) (스피노자)
영향
공리주의 칸트
윤리 윤리
5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1)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를 ‘이성’ 또는 ‘감정’에 두고 있는 윤리 사상에는 어
떤 것이 있을까?
2) 스피노자와 흄의 윤리 사상은 서양 윤리 사상에 각각 어떤 영향을 끼쳤을까?
5.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14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41 2018-08-06 오전 11:3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