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고 윤리와 사상
P. 139
5-2 도덕적인 삶과 감정 •자아의 발견
학습 요소
•근대적 사고방식
학 습 •자아의 발견이 근대적 사고방식에 끼친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흄의 윤리 사상
목 표 •흄의 윤리 사상을 이해하고, 경험론의 도덕적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경험론
경험주의적 사고의 특징은 무엇인가?
✽
베이컨의 경험론 근대 경험론의 선구적 인물은 베이컨이다. 베이컨은
중세까지 서양 학문을 주도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방법을 거부하고, 과학
의 실험 정신에 근거한 새로운 방법을 주창하였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05 삼단 논법식 연역 추리로는 결코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없으며, 기껏해야
이미 알고 있는 지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 대
안으로 경험과 관찰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귀납법을 제시하였다.
그는 이렇게 알아낸 새로운 지식을 토대로 자연을 개발함으로써 인간의 삶
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지식은 힘이다.”라는 유명한 말
10 은 그의 이러한 신념을 표현한 것이다.
베이컨에 따르면, 우리가 자연에 관하여 참된 지식을 얻으려면 무엇보다
▲ 베이컨(Bacon, F., 1561~1626)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가 지니고 있
는 선입견과 편견부터 없앨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선입견과 편견은 자연에 관한 우리
✽경험론
의 참된 인식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베이컨은 이러한 선입견과 편견을 우상이라고 부 인간의 감각적 경험을 중시하는
✽
15 르면서 이를 타파할 것을 역설하였다. 이론이다. 관찰과 실험을 통해
검증된 증거들을 바탕으로 일반
적인 법칙을 찾아내는 귀납적 방
홉스의 사상 베이컨의 과학적 태도를 이어받은 홉스는 전형적인 유물론의 관점에 법론을 사용한다.
서 자연과 인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르면 세상 만물은 모두 물질로 구성되어
✽*베이컨의 네 가지 우상
있다. 인간도 여기서 예외가 아니다. 그러므로 인간도 물리적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 종족의 우상: 자연을 인간 중
홉스가 보기에 인간은 자기 보존 본능을 지닌 이기적 존재이다. 따라서 자연 상태에 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편견
• 동굴의 우상: 개인의 성격·취
20 서 인간은 저마다 자신의 생존과 이익만을 추구하며, 그 결과는 ‘만인의 만인에 대한 미·습관의 차이, 자라 온 환
투쟁’이다. 그것은 어떠한 법도 규범도 없는 무정부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 경이나 교육의 차이에서 오는
편견
쟁 상태는 누구도 원하지 않는 것이기에, 사람들은 스스로의 생존과 이익을 지키기 위
• 시장의 우상: 잘못된 말과 소
하여 계약을 맺어서 법과 규범을 만들고, 이것을 집행하기 위한 정부를 세우게 된다. 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편견
• 극장의 우상: 전통이나 권위를
이때 법규의 위반자를 제재하기 위해서는 주권자에게 절대권을 부여해야 한다. 절대적
맹신하는 데서 오는 편견
25 인 권력만이 끔찍한 자연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홉스의 사상은 당시에 절대 군주제를 옹호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이후에 국
민 주권 사상으로 이어져 근대적 시민 국가를 형성하는 데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5.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13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37 2018-08-06 오전 11:3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