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7 고 윤리와 사상
P. 137
행복관 우리가 자신의 존재를 온전히 보존하고 실현하려면 궁극적으로 다른 존
재의 영향으로 인한 정념의 지배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면 인간이 정
념의 지배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무엇일까?
수동적인 정념은 우리가 그것에 대해 명석 판명한 관념을 형성하는 순간 더 이상 수동적
05 이지 않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정념에 대해 더 잘 알면 알수록 정념은 우리들의 힘 안에
있게 되며 또한 정신은 그만큼 더 정념의 영향을 덜 받게 된다. - 스피노자, 『윤리학』
인간이 정념의 지배에서 벗어나는 길은 정념에 대해 객관적인 인식을 갖는 것, 즉
정념의 참된 원인을 아는 것이다. 만일 정념을 인연의 사슬 속에서 생기는 필연적인
일로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는 고통스러운 번민에서 해방될 수 있다.
10 인간이 자연 법칙의 인과적 필연성에서 벗어나 자유 의지를 가지는 것은 불가능
하지만, 인과적 필연성을 이성적으로 통찰하고 이해함으로써 마음의 평정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모든 것을 이성적으로 관조하는 데서 오는 평온한 행복이 인간에게
가능한 유일한 행복이다. 그리고 이것이 정념의 예속에서 벗어난 진정한 자유인의
경지이다. 여기서 우리는 스피노자에게 끼친 스토아학파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15 합리론은 서양 윤리 사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데카르트와 스피노자로 대표되는 합리론은 근대 자연 과학의 영향을 받아 윤리적
사고에서도 수학적, 이성적 추리를 강조하였다. 또한,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
스토텔레스의 영향을 받아 도덕과 행복의 근거를 인간의 이성적 능력에서 찾고자 하
였다. 이성을 통해서 인간과 우주에 대한 확고한 지식과 도덕의 최종적 근거를 마련
20 하고자 했던 합리주의적 사고는 상대주의와 회의주의로부터 진리와 도덕의 보편성
을 지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합리론의 흐름은 칸트의 윤리 사상으로 이어졌다.
탐구 성찰하기
활동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
스피노자는 인간의 행복에 커다란 관심을 기울인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윤
리학’을 의미하는 그의 저서 『에티카』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도덕을 해명하려는
시도였다. 먼저 스피노자가 신(神)이라고 하는 것은 인격도 의지도 갖지 않고,
자연 법칙의 필연성에 따라 작용하는 유일한 실체이다. 다시 말해 ‘신은 곧 자
연’이다. 그리고 그는 도덕과 행복을 별개의 것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그는 이성
적 통찰을 통해 행복이 ‘사랑’의 일종이며, 사랑의 최고의 것은 신(자연)에 대한
▲ 스피노자의 저서 『에티카』 사랑이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활동 스피노자가 말하는 인간의 행복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그 의미를 생각해 보자.
5.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13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35 2018-08-06 오전 11:3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