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고 윤리와 사상
P. 135
1
5-1 도덕적인 삶과 이성 •르네상스와 종교 개혁
학습 요소
•근대 과학적 세계관
학 습 •근대 윤리 사상의 등장 배경과 근대 과학적 세계관의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
목 표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을 이해하고, 합리론의 도덕적 기초를 설명할 수 있다. •합리론
근대 윤리 사상이 등장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중세의 서양 사회는 모든 것이 신 중심이었다. 인간은 신을 위해 존재한다고 여겼
✽
고, 사회는 모든 면에서 종교적 전통과 제도에 묶여 있었다. 그러나 르네상스와 종 ✽르네상스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유럽에서
교 개혁이라는 큰 변혁을 통해 인간과 사회는 신과 교회로부터 해방되는 계기를 맞
14~16세기에 일어난 문예 부흥
05 았다. 운동을 말한다. 이때 과학 혁명
의 토대가 만들어졌다.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의 부흥을 주장한 르네상스를 통해 개성을 존중하고 합리
적 사고와 경험을 중시하는 근대적 사고방식이 자리를 잡았다. 또 초대 교회의 순수
한 신앙으로 되돌아갈 것을 외쳤던 종교 개혁을 통해 중세의 봉건적 신분 질서를 지
탱하던 교회의 권위주의적 전통이 무너짐으로써 각 개인은 신앙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10 서양의 근대 사상을 특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자연 과학의 발달이다. 서양
의 16~17세기를 흔히 과학 혁명의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 갈릴레이(Galilei, G.) ✽합리론
이성을 지식의 근원으로 보는
와 뉴턴(Newton, I.)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자연 과학이 등장하면서 중세의 자연관
견해를 말한다. 합리론에서 진리
이 붕괴되고, 과학적 세계관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 이제 인간은 자연을 이해 의 기준은 감각적인 것이 아니라
이성적이고 연역적인 방법론이
하기 위하여 신의 존재를 떠올리는 대신에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과학적 방법론으로
나 이론으로 정의된다.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를 이성에서 찾는 데카르트
15
와 스피노자의 윤리 사상은 이러한 근대의 과학적 세계관을 반영한 것이다. ✽공리(公理)
수학에서 증명 없이 자명한 진리
로 인정되는 것으로, 다른 명제
데카르트의 합리론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를 증명하는 데 전제가 되는 원
리이다.
✽
합리론의 대표자는 데카르트이다. 그는 경험론자들이 중시하는 감각적 경험을
20 통해서는 참된 지식을 얻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의심할 여지없이 확실한
지식을 찾기 위하여 일단 모든 것을 의심해 보았다. 그 결과, “나는 생각한
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확고부동한 명제를 얻을 수 있었다.
✽
이 명제는 수학에서의 공리처럼 더 이상 증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명
한 진리이기 때문에, 그는 이것을 제1원리로 삼은 후 이성적 추리를 통해
25 그 밖의 진리들을 하나하나 연역해 나갔다. 이처럼 이성적으로 자명한 진
리로부터 논리적 추리를 통해 모든 사물의 진리를 찾아 나가는 데카르트
에게서 우리는 근대 이성주의 사고의 전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이성
적으로 사고하는 자아가 세상의 중심이 되는 서양 근대적 자아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데카르트(Descartes, R.,1596~1650)
5.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133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33 2018-08-06 오전 11:3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