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0 고 윤리와 사상
P. 130










이러한 삶을 위해 아퀴나스는 덕을 강조한다. 덕이란 ‘우리를 바르게 살도록 인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행복에 이를 수 있게 해 주는 마음의 습관’을 가리키며, 자연
적 덕과 종교적 덕으로 나눌 수 있다.

자연적 덕은 다시 지의 덕과 윤리의 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지의 덕은 선과 진리
를 추구하도록 이성을 지도하는 능력이고, 윤리의 덕은 올바른 생활을 하도록 욕망 05

을 통제함으로써 선에 이르게 하는 능력이다. 종교적 덕은 우리를 신에게 인도하는
덕으로서 믿음·소망·사랑이 여기에 해당한다.



자연법 윤리 한편, 아퀴나스는 인간이 마땅히 지키고 따라야 할 도덕 법칙으로
서 이성의 명령인 자연법을 제시하였다.

아퀴나스에 의하면, 자연법은 인간 본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인간의 이성에 의해 10
인식될 수 있고,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된다. 자연법의 최고 명령은 인간 본
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간 본성은 인간이 자연스럽게 하고 싶어 하는 성향

을 통해서 표현되며, 그러한 자연적 성향에는 자기 생명을 보존하려는 성향, 종족을
보존하려는 성향, 알고자 하는 성향, 사회적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 성향이 포함된
다. 그리고 이 네 가지 성향은 각각 생명 가치, 생식 가치, 지식 가치, 사회성의 가치 15

가 인간 본성에 내재하는 근본 가치임을 보여 준다. 이 네 가지 근본 가치를 존중하
고 실현하는 것이 자연법이 명령하는 도덕적 의무가 된다.
또한, 아퀴나스는 인간 사회의 실정법은 자연법에 기초해야 하며, 그것을 위반하는

✽면죄부 실정법은 “법이 아니라 법을 가장한 폭력에 불과하다.”라고 비판하였다. 더 나아가 그
가톨릭교회가 발행한 문서로, 금
는 자연법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의 계시에 의한 신법, 즉 영원법(the eternal law)을 20
전이나 재물을 바친 신자에게 죄
를 사면해 주었다는 증명서이다. 제시하였으며, 모든 법은 궁극적으로 이 영원법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황 레오 10세는 성 베드로 성
당 증축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면죄부를 발행하였는데, 루터는 인간은 자신의 자연적 능력의 한계를 초월하는 영원한 행복이라는 목적 아래 질서 지어
95개 조 반박문을 발표하여 가 있으므로, 마땅히 자연법이나 실정법을 초월하여 신에 의하여 주어진 법에 의해서도 자신의
톨릭교회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목적을 향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 - 아퀴나스, 『신학대전」



프로테스탄티즘과 그리스도교 윤리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25

종교 개혁과 구원의 윤리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면서 그리스도교 윤리 사
상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가장 중요한 변화 요인은 루터에 의해 촉발된 종교
개혁이다.

루터는 당시 성행했던 교회의 면죄부 판매를 비난하며 1517년에 ‘95개 조

반박문’을 발표하고, 인간은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30
그는 교회의 중간자적 역할 없이 신과 인간이 직접 만날 수 있다는 논리를 전

개하였는데, 이는 이제까지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독점했던 교회에
▲ 비텐베르크 성당에 ‘95개조 반박문’을 게
시하는 루터(Luther, M., 1483~1546) 맞서 그리스도교 신자라면 누구나 신과 직접 대화할 수 있음을 주장한 것이다.
128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28 2018-08-06 오전 11:37:09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