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7 고 윤리와 사상
P. 127



1





4-1 그리스도교와 사랑의 윤리 학습 요소
•그리스도교의 성립과 발전
•교부 철학
학 습 •그리스도교의 성립 배경과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목 표 •교부 철학자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의 윤리를 설명할 수 있다. •사랑의 윤리




그리스도교는 어떻게 성립하여 발전하였는가?


그리스도교가 유대인의 민족 종교 차원을 넘어 세계 종교로 발돋움하
게 된 것은 사도 바울과 그 제자들의 헌신적인 전도 활동, 그리고 로마 제

국이 그리스도교를 국교로 공인한 밀라노 칙령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05 흔히 서양 문화의 특징을 고대 그리스의 세계관과 유대·그리스도교의
세계관인 헤브라이즘의 융합이라고 한다. 중세에 접어들면서 서양의 사상
을 주도했던 고대 그리스 사상은 그리스도교와 만나면서 신과 인간의 본

질, 신과 인간의 관계에 관심을 두었다. 그리스도교 또한 그리스 철학을 수
▲ 설교하는 사도 바울 초기 교회를 이끈 지도자로,
용함으로써 교리를 체계화하고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할 수 있었다. 이와 로마 제국 주요 도시를 돌며 그리스도교 교리를
널리 전파하였다.
10 같은 고대 그리스 사상과 헤브라이즘의 융합은 천여 년에 걸친 중세의 지
배적인 정신문화를 형성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중세 이전까지의 그리스·로마 윤리 사상의 특징은 한마디로 ‘행복주의’라고 할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 안에는 천주교와 개
수 있다. 이는 인간이 자기 스스로의 힘으로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주장인데, 이것
신교가 있다. 천주교는 구교인
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은 인간의 이성이다. 인간이 이성적인 삶을 영위함으로써 최 가톨릭(Catholic)의 번역어이고,
개신교는 신교인 프로테스탄트
15 고의 행복에 이르는 것, 이것이 그리스·로마 사상이 추구했던 이상이었다.
(Protestant)의 번역어이다.
그러나 중세의 윤리 사상에서는, 인간은 유한한 존재이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만
✽밀라노 칙령
으로는 결코 참된 행복에 도달할 수 없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된다. 그래서 인간의 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누스 황제
가 313년 칙령을 내려 그리스도
능력보다는 신의 은총이, 이성보다는 신앙이, 철학보다는 신학이 더 우월한 지위를
교를 정식 종교로 공인하였다.
차지하게 된다.


20 ‘사랑의 윤리’는 어떻게 성립하였는가?


교부 철학의 등장 그리스도교 교리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같은 교부들의 노력으 아우구스티누스
로 확립되었다. 교부 시대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그리스도교의 신학이 만나 다양 (Augustinus, A., 354~430)
그리스도교 신학자이자 주교로
한 종교적 학설이 탄생한 시기이다. 서 신학과 철학을 함께 연구하

교부들은 고대 그리스 사상, 특히 플라톤의 철학을 받아들여 신앙을 체계화하려 여 중세 교부 철학의 체계를 마
련하였다.
25 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신앙이 이성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는데,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은 이를 단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교부
사도 바울 이후 그리스도교 신
학의 기초를 마련한 학자들을
아우구스티누스의 윤리 사상 플라톤이 참된 실재인 이데아의 세계를 지향했다 말하며, 이와 관련된 학문을 교
부학, 교부 철학이라고 부른다.
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참된 실재인 신과의 합일을 꿈꾸었다.

4. 진정한 신앙이란 무엇인가? 125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25 2018-08-06 오전 11:37:07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