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9 고 윤리와 사상
P. 129
4-2 구원의 윤리와 자연법 윤리 학습 요소
•스콜라 철학
•구원의 윤리
학 습 •스콜라 철학자 아퀴나스의 구원의 윤리와 자연법 윤리를 설명할 수 있다. •자연법 윤리
목 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의 특징과 그리스도교 윤리의 현대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프로테스탄티즘 윤리
‘자연법 윤리’는 어떻게 성립하였는가?
스콜라 철학의 등장 중세 후기에는 신학과 철학, 신앙과 이성,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통해 그리스도교의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하고 합리적으로 설명하려는
✽ 스콜라 철학이 등장하였다. ✽스콜라 철학
스콜라(schola)는 오늘날 학교
05 스콜라 철학의 대표적 인물은 아퀴나스이다. 그는 철학과 신학의 고유한 영역을
를 뜻하는 스쿨(school)의 어원
구분하여 각각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신학적 체계를 완성하는 데 철학을 활용 으로, 중세 서양의 성당이나 수
도원에 딸린 학교를 의미한다.
하고자 하였다. 그는 신앙과 이성은 서로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적인 관계에 있
이곳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던 스
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특징은 그가 신의 존재를 이성적으로 증명하려고 한 데서도 콜라 철학은 그리스도교의 교의
와 권위를 인정하고, 아리스토텔
잘 드러난다.
레스의 철학을 원용하여 학문의
체계를 세운 것이 특징이다.
10 아퀴나스의 윤리 사상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받아들여 신학 사
상을 전개하였으나,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종교적 차원으로 한 단계 더 나아갔다.
아퀴나스가 보기에,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인간 본성과 자연 세계의 세속적인
측면에 관해 우리에게 깊은 통찰을 제공해 주지만, 이러한 세속적인 입장은 분명히
제한적인 것이었다. 왜냐하면 우리가 원하는 “궁극적인 행복은 신의 본질을 직관하
15 는 데에만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신의 본질을 직관하는 것은 초자연적인
은총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우리의 자연적인 이해 능력만으로는 신의 본질을 파악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므로, 이런
이해 능력은 반드시 신의 은총을 통하여 보충되어야만 한다. - 아퀴나스, 『신학대전』
아퀴나스에게 인간 삶의 궁극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와 마찬가지로 행복이다. 하
20 지만 그 행복은 세속적인 삶에서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현세의 행복
은 단지 부분적이고 불완전한 행복으로서 진정한 행복으로 나아가는 예비적 단계에
불과하다. 우리는 궁극적으로 신과 일체가 되기를 원하며 신 안에서 우리 자신의 기
쁨과 완성을 찾기를 바란다. 따라서 완전하고 자기 충족적인 행복은 오직 내세에서
신의 은총을 통하여 신과 하나가 되고 그의 무한한 선을 향유할 때 비로소 가능하
25 다. 내세의 준비 과정인 현세에서 세속적인 행복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우리를 지도하 ▲ 아퀴나스(Aquinas, T., 1225?
~1274) 중세 그리스도교 신학
고 인도하는 것은 인간의 이성이다. 따라서 이 세상에서 우리에게 적절한 삶은 이성
자이자 스콜라 철학자로서 이성
적인 삶이다. 과 신앙의 조화를 추구하였다.
4. 진정한 신앙이란 무엇인가? 12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27 2018-08-06 오전 11:3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