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고 윤리와 사상
P. 133
해답 219쪽
단원 마무리 1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자.
중세에는 ( ㉠ )과 ( ㉡ )가 융합하여 신앙 중심의 윤리가 등장하였다. 전기에
는 교부 철학이 ( ㉢ )의 사상을 토대로 그리스도교 교리를 체계화하였다면, 후
주요 용어ㆍ개념 기에는 스콜라 철학이 ( ㉣ )의 사상을 근거로 그리스도교 윤리를 정립하였다.
교부 철학
스콜라 철학
2 옳은 것에 ○표, 잘못된 것에 ×표를 해 보자.
사랑의 윤리
1) 교부 철학은 고대 그리스 사상인 플라톤의 철학을 받아들여 신앙을 체계
구원의 윤리
화하려고 노력하였다.
자연법 윤리
2) 중세 후기에 들어 그리스도교의 교리를 철학적으로 논증하고 합리적으로
성서 중심주의
설명하려는 스콜라 철학이 등장하였다.
만인 사제주의
3) 칼뱅은 당시 로마 교회의 면죄부 판매를 비난하며 ‘95개 조 반박문’을 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 표하고, 인간은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4) 루터는 신의 절대적 권위를 내세워, 신에게 선택받은 사람만이 구원받을
수 있다는 예정설을 주장하였다.
핵심 내용 정리
1 그리스도교와 사랑의 윤리
3 관련 있는 내용을 바르게 연결해 보자
• 그리스도교: 유대인의 민
1) 아우구스티누스 ㉠ 우리의 자연적인 이해 능력만으로는 신의 본질을 파
족 종교에서 세계 종교로
악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므로, 이런 이해 능력은 반
발전
드시 신의 은총을 통하여 보충되어야만 한다.
• 중세 신앙 중심의 윤리: 고
대 그리스 철학 + 그리 2) 아퀴나스 ㉡ 만일 신이 인간의 최고선이라면, 그것을 구하는 것
스도교 윤리 이 잘 사는 일이므로, 잘 산다는 것은 분명히 마음
과 목숨과 뜻을 다하여 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교부 철학>
•대표 인물: 아우구스티누스
•플라톤의 철학 적극 수용
•신의 은총 강조 사랑의 윤리
4 아우구스티누스와 아퀴나스 윤리 사상의 특징을 비교해 보자.
2 구원의 윤리와 자연법 윤리 아우구스티누스 아퀴나스
• 중세 후기: 철학과 신학, 사상의
신앙과 이성, 자연과 인 배경
간의 조화 추구
주요
<스콜라 철학> 주장
•대표 인물: 아퀴나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수용
•자연적 덕 자연법 윤리
•종교적 덕 믿음, 소망, 사랑
5 다음 질문에 답해 보자.
• 종교 개혁: 루터의 ‘95개
1) 프로테스탄티즘은 어떤 의미일까?
조 반박문’ 발표 루터
와 칼뱅의 개혁
2) 그리스도교 윤리의 특징은 무엇이고,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주었을까?
• 루터: 신앙주의, 성서 중심주의,
만인 사제주의 주장
• 칼뱅: 예정설, 직업 소명설 주장
4. 진정한 신앙이란 무엇인가? 13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31 2018-08-06 오전 11:3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