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6 고 윤리와 사상
P. 136










스피노자 윤리 사상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세계관 스피노자는 근대의 과학적 세계관의 영향을 받아 유대교나 그리스
도교의 인격적 신 관념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 대신 자연 그 자체를 무한하고
완전하며 유일한 실체로 보았다. 이러한 사고방식을 범신론(pantheism)이라

하는데, 이는 자연이 곧 신(神)임을 의미한다. 05
스피노자에 따르면 이 세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은 신, 즉 자연의 절대적
본성에 의해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자연 법칙에 따른 기계적 필연성을 통해

모두 설명될 수 있다. 이는 ‘삼각형의 세 각의 합은 180도’라는 결론처럼 명백
▲ 스피노자(Spinoza, B., 1632~1677) 네덜
란드의 유대인 철학자로 데카르트, 라이프
한 것이다. 그렇다면 자연 법칙 속에서 인간의 의지는 자유로울 수 있을까?
니츠와 함께 합리론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자연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결정론적으로 이해할 경우 인간의 자유 의지 10
는 부정될 수밖에 없다. 인간도 자연의 일부분인 이상 자연의 모든 부분에 똑같이

✽범신론 적용되는 자연 법칙의 지배를 받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세계 밖에 별개로 존재하는 인격
신이 아닌 우주, 세계, 자연의 모
든 것과 자연 법칙을 신이라 하 정신 안에는 절대적이거나 자유로운 의지가 존재하지 않는다. 오히려 정신은 이것 또는
거나, 또는 그 세계 안(신과 세계 저것을 의지하도록 어떤 원인에 의해 결정되고, 이 원인 역시 다른 원인에 의해 결정되며, 그
는 하나)에 하나의 신이 내재되 것은 다시 또 다른 원인에 의해 결정되는 식으로 무한히 진행한다. - 스피노자, 『윤리학』 15
어 있다는 철학 또는 종교관, 세
계관을 말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인간은 자유로운 의지에 따라 결단하고 행동한다고 믿는
다. 사람들이 이렇게 믿는 것은 아직 세상일의 참된 원인을 알지 못하고 어리석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리석음에서 벗어나려면 참된 인식에 이르러야 하는데, 참된 인

식이란 자연 법칙의 필연적인 인과 관계를 꿰뚫어 보는 것이다.



선과 악 스피노자에 따르면 모든 존재는 자신을 보존하려는 경향을 지닌다. 그 20
러나 이러한 자기 보존은 자신의 능력만으로 가능하지 않고 다른 존재와의 관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모든 존재는 인과적 연쇄 속에서 다른 존재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인간이 다른 존재와의 관계에서 수동적으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정념 생겨나는 느낌을 스피노자는 정념이라 부른다.
마음의 움직임과 생각 또는 강
하게 집착하여 떨어지지 않는
우리는 우리 존재의 보존에 도움이 되거나 해가 되는 것을, 즉 우리의 활동 능력을 증대하 25
사랑과 미움의 감정 등을 의미
거나 감소하고,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것을 선 또는 악이라 부른다. …… 선과 악의 인식은 기
한다. 정념은 영어 passion에 해
당하며, 감정은 매우 넓은 의미 쁨이나 슬픔의 정념 자체에서 필연적으로 생기는 기쁨이나 슬픔의 관념일 뿐이다.
로 사용되는 용어로서, feeling, - 스피노자, 『윤리학』
emotion, sentiment, sensation,
affect, passion 등의 의미를 모
인간은 불완전하고 유한한 존재이기 때문에 늘 정념에 사로잡히기 쉽다. 내가 다
두 포괄한다.
른 존재와의 관계에서 나의 존재의 힘이 억압당한다고 의식할 때 슬픔의 정념을 느 30
낀다. 반면 나의 존재의 힘이 증대된다고 의식할 때 기쁨의 정념을 느낀다. 스피노자
에게 선과 악이란 바로 정신에 의해 의식된 기쁨과 슬픔의 정념과 같다.


134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34 2018-08-06 오전 11:37:14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