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1 고 윤리와 사상
P. 141
그것을 시인하는 감정이 일어난다면, 이것은 어떻게 설명될 수 있
을까? 흄에 따르면 이것은 공감을 통해서 가능하다. 자신의 이익과
아무 상관없는 이웃이나 사회의 선이 자신을 기쁘게 하는 것은 오
직 공감 때문이라는 것이다.
05
인류애가 허영심이나 야망처럼 그렇게 강한 것으로 평가되지는 않을
지 모르나, 그것은 모든 인간이 공유한 것으로서, 유일하게 도덕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흄, 『인간의 지성과 도덕의 원리에 관한 탐구』
▲ 공감, 서로 다른 우리를 손잡게 하는 힘!
공감이란 타인의 행복이나 불행을 자신의 마음속으로 함께 느 Q 우리의 삶에서 공감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끼는 능력이다. 그것은 하나의 덕목이라기보다 사람들에게 도덕적
10 선을 시인하도록 해 주는 마음 안의 능력이다. 또 그것은 사람들 사이에 존재하는
어떤 원초적 연대 의식과 비슷한 것으로서, 인류애 또는 동료 의식이라 표현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공감은 어떻게 도덕 판단의 근거가 될 수 있을까? 흄의 윤리 사상이 진
정한 도덕 판단의 기준을 제공해 주려면, 또 하나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시인의
15 감정을 통해 내려지는 판단이 단지 주관적이거나 상대적이어서는 안 되고 보편타당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자)는 자신의 개인적이고 특수한 상황을 떠나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관점을 취해야 한다. 그는 인간 본성 안의 보편적 원리를 움직여, 모든 인간이 거기에 화
답할 수 있는 소리를 내야 한다. - 흄, 『인간의 지성과 도덕의 원리에 관한 탐구』
20 흄은 우리의 도덕 판단이 공감 능력에 힘입어 경험을 거듭할수록 보편적이고 객
관적인 관점에 다가갈 수 있으며, 결국 “공정한 관점 또는 성찰에 입각한 감정의 보
편적이고 냉철한 결정”에 이를 수 있다고 보았다.
감정을 중시한 흄의 사상은 서양 윤리 사상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흄의 사상으로 대표되는 경험론은 모든 지식이 경험으로부터 나온다고 주장하
25 며, 윤리의 문제에서는 인간의 생존과 이익에 도움이 되는 행위가 선한 것이라고
보았다.
경험론의 의의는 객관적 지식을 얻기 위해 모든 것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실험해
보는 탐구 정신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정신은 이성주의의 독단에 빠지지 않도
록 우리를 일깨우는 역할을 하였으며, 정치적으로는 절대 권력의 전횡을 견제하고
30 비판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관찰과 경험에 토대를 둔 경험론은 결
과를 중시하는 공리주의와 실용주의 윤리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도덕적 판단과 행동의 근거는 무엇인가? 13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39 2018-08-06 오전 11:3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