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4 고 윤리와 사상
P. 144



1



6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옳고 그름의 기준









주 제 열 기 의무론은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을 그 행위가 언제 어디서나 지켜야 할 행위의 근본 원칙, 즉 도덕적 의
무를 얼마나 충실히 지켰는지에 따라 평가하는 이론이다. 반면 결과론은 행위의 옳고 그름을 그 행위가
얼마나 좋거나 나쁜 결과를 낳았는지에 따라 평가하는 이론이다.





칸트와 밀은 어떤 기준에 따라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였을까?


어떤 행위가 선 또는 악인
행위의 선악을 결정하는 것은 오로지 결과에 따라
것은 결과가 아니라 그 행위를 결정됩니다. 따라서 옳은
낳은 의지일 뿐입니다. 어떤 행위란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행위가 도덕적 가치를 가지는 행복을 누리는 것, 즉
것은 그것이 오로지 의무로부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행해진 경우뿐입니다. 낳는 것입니다.






















칸트 벤담





학습 계획을 세워 보자.

1 이해하기 2 비교하기 3 성찰하기
의무론과 결과론 의무론과 결과론의 입장 현대 칸트주의의 의의
칸트 윤리의 특징 칸트 윤리와 공리주의의 입장 현대 공리주의의 의의
공리주의의 특징 칸트주의와 현대의 공리주의 행위의 옳고 그름의 기준


다음 과제를 수행해 보자.

모둠 토론 옳고 그름의 기준은 ‘선한 의지’일까, ‘좋은 결과’일까? 교과서 152쪽


142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42 2018-08-06 오전 11:37:1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