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1 고 윤리와 사상
P. 151
인간은 본성상 고통과 쾌락이라는 두 가지 최고의 주인의 지배를 받고 있다. 우리가 어떤
행동을 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알려 주는 것 역시
오직 고통과 쾌락일 뿐이다. 한 편으로는 옳음과 그름의 기준과 다른 한편으로는 원인과 결과
의 사슬이 이 두 주인의 지배를 받고 있는 것이다. 고통과 쾌락은 우리가 행하고 말하고 생각
05 하는 모든 것을 지배한다. -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쾌락은 유일한
선이고 고통은
유일한 악이다.
공리의 원칙이란 이해당사자의 행복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는 혹은 달리 말
해서 그 행복을 증진하거나 방해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향에 따라 각각의 행동을 승인하거나
비난하는 원칙을 의미한다. -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10 공동체의 이익이란 도덕 용어에서 나올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표현에 속한다. …… 공동
체란 그 구성원으로 간주되는 개인들의 집합에 불과한 가공일 뿐이다. …… 그렇다면 공동체
의 이익이란 무엇인가? 공동체 구성원들의 이익의 총합일 뿐이다.
-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 벤담(Bentham, J., 1748~1832)
이처럼 벤담의 공리주의는 철저하게 개인주의를 바탕으로 한다. 이때 각 쾌락을 계산하는 기준
15 각의 구성원은 오로지 한 사람으로만 간주되며, 그 누구도 한 사람 이상으로 1. 강도: 얼마나 강한가?
2. 지속성: 얼마나 지속되는가?
혹은 한 사람 이하로 계산되지 않는다. 물론 모든 쾌락은 질적으로 동일하며, 3. 확실성: 얼마나 확실한가?
다만 그 양에서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차이는 쾌락 계산법에 의해 측정 4. 신속성: 빨리 얻을 수 있는가?
5. 생산성: 반복적으로 얻을 수 있는가?
가능하다. 벤담의 이러한 양적 쾌락주의는 곧 평등주의의 다른 표현이다.
6. 순수성: 고통이나 부작용은 없는가?
이처럼 벤담은 ‘공리’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도덕의 목적이란 행복의 증진 7. 범위: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가?
✽
20 에 있음을 분명히 하면서 노예 제도, 여성의 종속, 복수법, 동물 학대 등과
같이 당시의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던 관행들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벤담의 ✽복수법
‘눈에는 눈’, ‘이에는 이’, ‘생명에
이러한 급진적 개혁주의는 수많은 비판에 부딪혔다. 인간이 추구하는 행복이 단순히 는 생명’으로와 같이 가해자에게
욕구의 만족인 쾌락으로 간주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특히 동물적·관능적 쾌락과 인 동일한 복수를 허용하는 법을
말한다.
간적·지적 쾌락을 구분하지 않고 오로지 그 양의 차이만을 강조함으로써 인간의 고
25 유한 삶의 양식을 간과하였다는 것이다. 밀은 바로 이러한 점을 수정하거나 보완함으
로써 공리주의를 좀 더 설득력 있는 이론으로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탐구 성찰하기
활동
동물의 이익을 침해하거나 학대할 권리가 있는가?
우리가 동물의 이익을 고려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설령 다리 숫자, 피부 털, 뼈 모양 등에서 차
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차이가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존재의 고통을 방관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 그
렇다면 차별을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이성 능력인가? 아니면 의사소통 능력인가? …… 문제는 그들이
사고할 능력이 있는가, 또는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가 아니라, 그들이 고통을 느낄 수 있는가이다.
-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활동 1 동물의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활동 2 동물 학대의 사례를 알아보고, 학대 방지를 위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조사해 보자.
6.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149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49 2018-08-06 오전 11:3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