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4 고 윤리와 사상
P. 154
주제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
탐구
모둠 토론 옳고 그름의 기준은 ‘선한 의지’일까, ‘좋은 결과’일까?
칸트의 의무론
이 세상 안에서뿐만 아니라 이 세상 밖에서도 무제한적으로 선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선의지뿐이다.
도덕 법칙은 하나의 완전한 존재자의 의지에게는 신성의 법칙이지만, 모든 유한한
이성적 존재자의 의지에게는 의무의 법칙이다.
벤담의 결과론
인간은 쾌락의 총량을 최대화하고 고통의 총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행동한다. 따
라서 행위의 옳고 그름을 평가하는 유일한 기준은 행위에 의해 생겨날 쾌락과 고통
의 양이다.
옳은 행위란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행복을 누리는 것, 즉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낳는 것이다.
토론 방법
학급 인원을 나누어 모둠별로 토론을 진행한다.
칸트의 주장과 벤담의 주장을 비교해 보고, 두 윤리 사상의 차이를 이해한다.
칸트와 벤담 두 사람의 주장을 이해하고, 이들의 주장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입장에서 논거를 들어가며 토론한다.
❖ 칸트와 벤담의 입장을 비교해 보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말해 보자.
1 칸트와 벤담이 각기 제시하고 있는 옳고 그름의 판단 기준은 무엇인가?
칸트: 벤담:
2 칸트 윤리와 공리주의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각각의 장점과 문제점은 무엇인가?
칸트 윤리 공리주의
특징
장점
문제점
152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2 2018-08-06 오전 11:3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