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2 고 윤리와 사상
P. 152










밀의 공리주의 벤담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밀은 벤담처럼 삶의 궁극적인 목
적을 행복으로 보고, 행위자 자신의 행복만이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의 행복을 증
진하는 행위가 옳은 행위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밀은 벤담과는 달리 쾌락의 양만

을 중시할 것이 아니라 질적 차이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어떤 종류의 쾌락이 다른 것들보다 더 바람직하고 더 가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 05
은 공리의 원리에 조금도 어긋나지 않는다. 다른 모든 일을 헤아릴 때에는 양뿐만 아니라 질
도 고려하면서, 쾌락을 측정할 때에는 양에만 의거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은 불합리한 일이
다. - 밀, 『공리주의』


예컨대, 감각적 쾌락보다는 내적 교양이 뒷받침된 정신적 쾌락이 더 수준 높은 쾌

락이라는 것이다. 밀은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나 질적으로 높고 고상한 쾌락을 10
더 원할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이처럼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는 이러한 관점을
질적 쾌락주의라고 한다. 한편 현대의 선호 공리주의는 공리를 쾌락의 극대화로 간

주하는 고전적 공리주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고전적 공리주의는 진리 추

✽종차별주의 구나 우정처럼 쾌락으로 환원할 수 없는 행복의 다양한 요소들을 간과할 수 있다.
자기와 같은 종에 속한 존재의 따라서 선호 공리주의는 쾌락의 극대화 대신 선호 만족의 극대화를 주장한다. 선호
이익은 옹호하면서, 다른 종에 15

공리주의의 예로는 종차별주의에 반대하는 싱어의 관점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속한 존재의 이익은 무시하는 편
견 또는 왜곡된 태도를 말한다. 선호란 쾌락과 고통을 느끼는 모든 존재의 이익을 의미한다.


공리주의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공리주의의 한계와 의의 밀의 공리주의는 벤담의 이론에 반감을 갖는 사람들로
하여금 공리주의를 좀 더 받아들일 만한 것으로 만들었다. 또 “왜 나만의 쾌락이 아 20
니라 최대 다수의 쾌락을 추구해야 하느냐?”라는 물음에 대해 “더 수준 높은 쾌락
만족한 돼지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이 낫고, 가운데에는 타인의 행복에 대해서 느끼는 쾌락도 포함된다.”라고 대답함으로
만족한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써 공리주의를 심리적으로도 정당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밀이 벤담과 달리 쾌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낫다.
락의 동질성과 계량화 가능성을 부인했을 때, 그는 공리주의에 또 다른 이론적
문제점을 안겨 준 셈이 되었다. 왜냐하면 쾌락의 질적 차이를 인정하고 쾌락을 측 25
정하는 데 쾌락 이외의 성질을 도입할 경우, 쾌락은 더 이상 가치의 유일한 최종적

표준이 될 수 없으며, 이는 곧 공리주의의 출발점인 쾌락주의 자체를 부인하는 결과
가 되고 말기 때문이다.

한편, 밀은 자유를 옹호하면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한 개인의 자유를 최대
한 보장해야 한다는 해악 금지의 원칙을 제시하며 자유주의 사회사상 30
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현실 정치에 직접 참여하면서 밀은 대의제 정

부가 민주 정부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소수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횡포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 밀(Mill, J. S., 1806~1873)
150 Ⅲ. 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0 2018-08-06 오전 11:37:23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