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3 고 윤리와 사상
P. 153










현대의 공리주의 현대의 대표적인 공리주의자인 싱어는 쾌락과 고통을 느
끼는 모든 존재의 이익을 공평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원칙을 이
익 평등 고려의 원칙이라고 한다.

싱어에 따르면 이익은 우리 사회에 속하는 사람의 이익이든 멀리 떨어진 곳
05 에 사는 사람의 이익이든 모두 공평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인간 생명의 가치도
이제는 인권만이 아니라
국적에 따라 달라질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세계의 기아와 절대 빈곤 구제에
동물권에 대해서도
적극 나서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현대의 공리주의는 인종 차별과 성차별에 주목할 때가 되었다.
반대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동물에 대한 차별에도 반대한다. 사람의 피부

색이나 성별이 다르다고 해서 그의 이익을 다르게 고려해서는 안 되는 것과 마
10 찬가지로, 어떤 존재가 인간 집단에 속하느냐 동물 집단에 속하느냐에 따라 그
존재의 이익을 다르게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현대의 공리주의는 우리의 도덕적 관심을 확대함으로써 사람과 동물의 이
익과 행복을 증진하고 고통을 완화하는 데 이바지하고 있다. 또한, 개인의 행
위를 지도하고 평가하는 도덕 원리를 넘어서 사회의 관습이나 정책, 제도의

15 도덕성을 평가하는 공적 도덕의 기준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사회
의 관습, 정책, 제도를 공리의 원리에 따라 평가하고, 그것들을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실현하는 데 적합하도록 개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싱어(Singer, P., 1946~)



이해하기
자료
읽기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는 공리의 원리를 행위에 직접 적용하여, 다른 행위보다 더 많은 공리를 산출하는 행
위를 옳은 행위로 본다. 이런 공리주의를 행위 공리주의라고 한다. 그런데 공리의 원리를 행위에 직접 적용
하다 보면 때때로 우리의 상식적 도덕과 반대의 결론이 나오기도 한다.
예를 들어, 거짓말이나 약속 위반, 죄 없는 사람에 대한 처벌, 권리 침해 등과 같은 행위도 최대 행복을 가
져오기만 하면 도덕적으로 정당화된다. 또한,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행위의 결과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계산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대
행위의 결과를 정확하게 공리주의는 개별 행위의 결과를 따지지 말고, ‘일반적으로’ 최대의 행복을 가져오는
계산할 수 있을까? 행위의 규칙을 따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규칙 공리주의라고 한다.
보통, 규칙이 가져올 결과를 계산하는 것은 행위의 결과를 계산하는 것보다 쉽다. 또
한, 최대 행복을 가져오는 규칙들은 대부분 상식적 도덕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거짓말을 허용하는 규칙과 거짓말을 금지하는 규칙 가운데 어느 것이 최대 행복을
가져올 가능성이 더 크냐고 물을 때, 우리는 후자 쪽이 정답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러
나 규칙 공리주의도 규칙들이 서로 충돌하는 상황에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분명한 기
준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현대 공리주의는 일상적인 경우에는
규칙 공리주의를 따르되, 규칙들이 상충하는 경우에는 행위 공리주의에 호소해
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 공리주의의 조화를 시도
하고 있다.


6.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151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1 2018-08-06 오전 11:37:24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