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8 고 윤리와 사상
P. 158
✽
✽논리 실증주의 현대 철학의 등장 20세기 초 유행한 논리 실증주의는 윤리학적 발언 자체를 무
과학의 논리적 분석 방법을 철
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학에 적용하고자 하는 사상으
로, 현대 분석 철학의 주류 중 하
나이다.
말해질 수 있는 것, 그러므로 자연 과학의 명제들 이외에는 아무것도 말하지 말고, 다른
어떤 사람이 형이상학적인 어떤 것을 말하려고 할 때는 언제나, 그가 그의 명제들 속에 있는
어떤 기호들에다 아무런 의미도 부여하지 못하였음을 입증해 주는 것, 이것이 본래 철학의 올 05
바른 방법일 것이다. - 비트겐슈타인, 『논리 철학 논고』
이제 현대 윤리 사상은 윤리학의 학문적 가능성에 대한 근본적인 회의를 정면으
로 마주하면서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윤리적 해결책을 내놓아야
✽
✽실존주의 하는 이중의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배경에서 실존주의와 실용주의가 등
이 용어를 명확하게 사용한 것
장하였다. 실존주의는 모든 경우에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윤리 법칙이 아니라 개인 10
은 사르트르지만, 넓게는 보부
아르, 퐁티, 카뮈 등이 주도한 이 처한 구체적인 맥락을 강조하였다. 이와 달리 실용주의는 이론적 정밀함보다는
1940~1950년대 유럽에서 번성
현실적 유용성을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이처럼 실존주의와 실용주의는 구체적 맥
한 문화 운동을 말한다.
락과 현실적 쓸모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일차적 의의를 지닌다.
보편 윤리의 관점에서 보자면 실존주의와 실용주의는 모두 상대주의 윤리설로
간주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윤리 자체를 부정하는 탈도덕주의(amoralism)로 15
이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 실존주의는 개인의 주체적 결단을 통해 자율
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실용주의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최선의 해결책을 통해 인
간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윤리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 실존주의는 어떤 특성이 있는가?
실존주의의 의미 실존주의에서 강조하는 실존이란 구체적인 상황에서 어떤 선 20
택을 할 수밖에 없는 인간을 말한다. 그런데 문제는 실존으로서 인간은 그 누구도
피할 수 없는 고통이나 죽음 또는 전쟁과 같은 한계 상황에 놓여 있다는 점이다. 이
러한 상황에서는 보편적인 윤리 원칙이 아니라 오로지 개인의 주체적 결단이 요구
실존주의 이론은
인간에게 존엄성을 부여하는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오로지 이러한 결단을 통해 그 개인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것
유일한 이론이며, 인간을
이지, 인간의 보편적인 본질이 선행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인간의 경우 “실존이 25
대상으로 만들지 않는
유일한 이론이다. 본질에 앞선다.”
실존주의자가 상상하는 사람이란 그것이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처음에는 아무것
도 아니기 때문이다. …… 사람은 다만 그가 스스로 생각하는 그대로일 뿐이다. 또한, 그가 원하는
그대로이다. 그리고 사람은 실존 이후에 스스로를 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은 스스로 만들어 가
는 것 이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이것이 실존주의의 제1원칙이다. 이것이 또한 사람들이 주체성
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 사람은 이끼나 부패물이나 꽃양배추가 아니라 무엇보다도 주체적으 30
로 자기의 삶을 이어 나가는 하나의 지향적 존재이다. 이 지향 이전에는 아무것도 있을 수 없고 하
나의 뚜렷한 그 무엇이 있을 리 없다. -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 사르트르(Sartre, J. P., 1905~1980)
156 Ⅲ.
156 Ⅲ. 서양 윤리 사상서양 윤리 사상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6 2018-08-06 오전 11:3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