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9 고 윤리와 사상
P. 159
실존주의는 과학 기술이 인간의 삶을 압도하는 상황에서 개인의 주체적 결단
을 통해 인간 개인에게 존엄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존엄한 개인
은 그 결단의 결과에 대해서는 당연히 스스로 책임을 지는 주체적 존재이다.
정말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면 사람은 자기가 어떤 것인가에 대해 책임이 있다. 이
05 래서 실존주의의 첫걸음은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그의 실존의 임자가 되게 하고 그에
게 그의 실존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돌리는 것이다. 이때 사람은 자신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고 우리가 말할 때, 사람은 모든 타인에 대해서 책임이 있다는 말이다.
-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실존주의의 특징 구체적인 상황에서 개인의 주체적인 결단을 강조하는
▲ 주체적 존재 인간은 매 순간 구체적 상황에
10 실존주의는 전통적으로 윤리로 간주되어 온 사회적 관행을 존중하지 않을 수
서 주체적 결단과 자유로운 선택을 통해 자
있다. 특히 사르트르의 경우 무신론을 주장하면서 서구 윤리 사상의 바탕이 기 자신을 만들어 나간다.
되는 그리스도교 윤리를 거부하며 통상적으로 비윤리적으로 보이는 것을 옹호하기
도 한다. 그 결과 실존주의는 전통적 관점에서는 윤리 사상이 아닌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15 나는 충고할 단 하나의 대답밖에 없었다. 즉, 당신은 자유요, 선택하시오. 다시 말하면
…… 당신이 해야 할 바를 지시하는 어떠한 보편적인 도덕도 있을 수 없소.
- 사르트르,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사르트르와 달리 실존주의 사상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키르케고르는 개인의 주
체성을 강조하면서도 “신 앞에 선 단독자”라는 개념을 통해 그리스도교의 윤리 사
20 상을 거부하지 않는다. 그는 헤겔의 철학을 비판하며, 인간의 삶은 결코 ‘절대 이성’
과 같은 보편적이고 추상적 관념으로 파악될 수 없는 다채롭고 변화무쌍한 것이라
주장하였다. 그는 인간을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단계는 감각적 실존으로서 인간은 욕망과 쾌락을 추구하며 아무 생각 없이
살아가는 존재이다. 둘째 단계는 윤리적 실존으로서 인간은 양심에 따라 보편적인
25 법률을 준수하며 질서 있는 삶을 살아가는 존재이다. 그러나 이러한 실존은 양심에
따라 살고자 애쓰지만 ‘죄를 지을 가능성’이라는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한다. 셋째
단계는 종교적 실존으로서 인간은 이성을 통해서는 이해할 수 없는 무한한 존재인
신을 통해 진리를 받아들인다. 이때 인간은 윤리적 실존에서 스스로가 자유로운 존
재라고 생각했던 착각에서 벗어나 신 앞에서 ‘죄 많은 존재’로 겸허히 서게 된다.
▲ 키르케고르(Kierkegaard, S.,
30 근대 이후 서양 윤리 사상은 이성을 강조하는 철학 사상과 신앙을 우선하는 종교 1813~1855) 덴마크의 철학
자이자 신학자, 시인, 사회 비평
사상 사이에서 상호 갈등과 보완을 통해 발전하였다. 키르케고르의 사상은 근대 서 가로서 실존주의 철학의 선구자
양 윤리 사상의 이러한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로 평가받기도 한다.
7. 주체적 실존인가, 실용적 문제 해결인가? 157
윤리와사상제출본.indb 157 2018-08-06 오전 11:3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