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5
P. 155
참고 자료
4차 산업 혁명 이색 직업
증기 기관 발명(1차), 대량 생산과 자동화(2차), 정보 기술(IT)과 • न ചࢎ 핵가족화로 인한 이웃 간, 세대 간의 단절, 급속한
산업의 결합(3차)에 이어 네 번째 산업 혁명을 일으킬 것이라는 사회 변화에 뒤처지면서 나타나는 인간소외 현상 등 다양한 이유
의미에서 붙여진 말이다.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로 힘들게 삶을 이어가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일본에서 처음 등
을 통해 생산 기기와 생산품 간 상호 소통 체계를 구축하고 전체 장한 정신 대화사는 외로움과 고독감을 느끼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생산 과정의 최적화를 구축하는 산업 혁명으로 ‘인더스트리 4.0’ 인생이 살아갈 가치가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하고 보다 행복한 생활
이라고도 한다. 을 할 수 있도록 정신적으로 지원한다. 서비스 대상자와 진심으로
이전까지의 공장 자동화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생산 시 대화하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는 정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설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였다. 하지만 4차 산업 혁 ਃ ޖ
명에서 생산 설비는 제품과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업 방식을 ① 따뜻한 대화와 관심으로 정신적인 위안을 준다.
결정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생산 설비가 중앙 집중화된 시스템의 ② 병원, 학교, 고령자 시설 등으로 파견되거나 개인 주택을 방문
통제를 받았지만, 4차 산업 혁명에서는 각 기기가 개별 공정에 알 해 근무한다.
맞은 작업을 판단하여 실행하게 된다. ③ 서비스는 개인이 직접 의뢰하거나 지방 자치 단체, 기업, 단체
4차 산업 혁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센서, 공장 자동화 로 가 의뢰하여 이뤄지기도 한다.
봇, 빅데이터 처리, 스마트 물류 보안 등 수많은 요소가 필요하 출처: 고용 노동부, 한국 고용 정보원, 2014.
다. 또한, 4차 산업 혁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통신 규약
(프로토콜)의 표준화가 관건인데, 독일과 미국은 표준 통신에 잠
정 합의하여 이 분야를 선도할 채비를 갖추고 있다.
4차 산업 혁명과 일자리
무인(無人) 공장의 등장으로 4차 산업 혁명이 몰고 올 미래에 대
한 논란도 뜨거워지고 있다. 더 다양한 물건을, 더 적은 인력으
로, 더 빨리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소비자는 큰 혜택을 볼 수 있
다. 하지만 이것을 단순히 축복이라고만 말하기는 힘들다. 일자리
감소 우려 때문이다.
국제 노동 기구(ILO)는 2016년 7월 수작업을 대신하는 로봇의 확
산으로 앞으로 20년간 아시아 근로자 1억 3700만 명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타이완,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
핀, 베트남 등 5개국 임금 근로자의 56%에 이르는 규모다. 그동 • ٣ణ ࢎ 최근 디지털 세상 속에서 ‘잊힐 권리’에 관한 논의
안 개발도상국은 저임금을 바탕으로 공장을 유치해 돈을 벌었고, 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등장한 직업으로, 그동안 인터넷이나 디
이렇게 쌓인 자본을 투자해 경제 규모를 키웠다. 무인 공장이 확 지털 상에서 무한정·무분별하게 유통되던 디지털 정보를 없애는
산되면 이런 성장 공식이 작동하기 힘들다. 일을 한다. 디지털 장의사는 고객이나 유족의 의뢰에 따라 인터넷
선진국도 일자리 안전지대가 아니다. 2016년 1월 스위스 다보스 계정, 게시물, 사진 등을 삭제하고, 포털사이트 서버, 개인 블로
포럼에서는 4차 산업 혁명으로 2020년까지 선진국에서 일자리 그 등에 삭제를 요청하거나 법적 조치를 의뢰하여 데이터를 삭제
710만 개가 사라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저임금 근로자들이 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타격을 받는다는 의미다. 출처: 한국 고용 정보원, 2014.
클라우스 슈바프 다보스포럼 회장도 저서 『4차 산업 혁명』에서 “4
차 산업 혁명의 수혜자는 이노베이터(혁신가), 투자자, 주주와 같 • ݽխ ܻ࠙ࢎ 모발 이식은 머리카락을 자라게 하는 기본 세포 조
은 지적·물적 자본을 제공하는 사람들”이라며 “노동자와 자본가 직인 ‘모낭 세포’를 이식하는 수술이다. 모낭 분리사는 모발 이식
사이 부의 격차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라고 지적하였다. 수술 시 모발의 높은 생착률을 위해 빠르고 정확하게 모낭 분리를
물론 속단은 금물이다. 과거 1·2·3차 산업 혁명 때도 “기계가 일 수행한다. 의사가 환자의 후두부를 절개해 두피를 모낭 분리사에
자리를 없앤다.”라는 경고는 항상 나왔다. 하지만 사라진 일자리 게 넘겨 주면, 모낭 분리사 여럿이 모낭 덩어리를 작은 단위로 분
보다 많은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면서 논란은 불식되었다. 리한다. 의사가 환자의 열린 부위를 봉합할 때 현미경 등을 이용
출처: 한경 경제 용어 사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03455& 해 분리를 마친 모낭을 식모기에 장착해 공기 중에 노출되는 시간
cid=‘42107&categoryId=42107’) 을 최소화하여 빠르게 이식할 수 있도록 돕는다.
출처: 한국 고용 정보원, 2015.
Ⅱ. 일과 직업 세계 이해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