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0
P. 160
ࣁࠗ بউ 도입
1-1 문제 확인 질문 제시
1. 변화하는 직업 세계 이해
بੑ ޙ ࣗױਗݺ 우리도 직업을 만들거나 창업할 수 있을까? 우리는 직업을 갖기 위해서 취업을 할 수도 있지만, 창업이나 창직을 할 수도 있다.
03 우리도 직업을 만들거나 창업할 수 있을까?
بੑ ޙ ب 학생들은 기존의 직업이나 사업에 참여할 수도 창업이 새로운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 기업을 만드는 것이라면, 창직은 새로운 종
류의 직업을 찾아내고 개발하는 것이다.
새로운 종류의 직업이나 사업을 상상하고 만드는
학습 활동 • 나도 기업가, 모의 창업·창직하기
있지만 직접 만드는 것도 가능하며 최근에는 청소년들의 창업· 목표 모의 활동을 할 수 있다. 과제 창업과 창직은 사회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소비자의 새로운 욕구를 채워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피를 마시고 싶어 하는 청소년의 욕구를 건강과 가격을 동시에 고려한
창직 활동도 활발해지고 있음을 인식시킨다. 쌀눈 커피로 만족시켜 준 사례는 창업의 좋은 예이다. 또 창업과 창직은 자아를 실현하
열려라!
생각 쌀눈으로 커피를 만들다 는 동시에 새로운 기업과 일자리를 만들어 냄으로써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다.
Үࢎ ഝز 소단원 질문을 학생들에게 던지며 다양한 대화를 이 창업과 창직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을 꾸준히
창업 신문 관찰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흐름을 발견해 낼 수 있는 창의적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새
끌어 낸다. 필리핀의 제사 마리 데자다 타카다오는 17세에 친구들과 팀을 꾸려 국제 창업 대회(*세이지 로운 생각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나가기 위해서는 관련된 사람들과 협력하면서 적극적
월드컵)에서 우승하였다. 제사 마리의 팀이 개발한 상품은 버려지는 쌀눈으로 만든 커피였다. 으로 행동할 수 있는 힘을 길러야 한다.
↟ب࢚ ਬ↟ 청소년도 마실 수 있는
커피에는 커피가 필요해! 우리 조상들은 다양한 창직과 창업 사례
카페인이 많아서 쌀눈을 볶아서
교사가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한 내용을 자 성장기 청소년에게는 커피 대신 마셨대.
좋지 않습니다.
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창직
1-2 문제 확인 학습 동기 유발 저희의 창업 웹툰 번역가 농장 파티 기획자 건축 여행 기획자
상품은 건강과 한국어로 제작된 웹툰 작품을 외국어로 지역의 농산물을 활용해 행사를 기획하고, 건축물에 관한 지식을 바탕으로 여행 프로
○○○ 창업 대회
가격을 동시에 번역하여 외국인들에게 소개하는 직업 농산물 판매 전략 등을 세우는 직업 그램을 기획하고 여행자를 안내하는 직업
고려한 쌀눈
Үࢎ ഝز 쌀눈은 몸에 좋고 그래, 바로 그거야! 커피입니다. •출처: 한국 고용 정보원, 2015.
값도 싸잖아.
• 〈열려라! 생각〉에 제시된 사례를 설명한다. *세이지 월드컵 창업
전 세계 청소년들에게
• 사례에 나타난 청소년들이 해결하고자 했던 것, 해결 방법은 무 창업 의식을 불어넣기
위해 매년 개최되는 청
소년 국제 창업 대회
엇이었는지 질문한다.
•출처: <머니투데이>, 2015. 8. 9. 재구성 교육 기회가 적은 청소년을 대학생과 일대 커피 찌꺼기와 옥수수 전분 등 친환경 재 아프리카에서 생산된 천으로 옷을 만들어
• 사례 속 청소년들이 창업에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이었 보고 일로 연결시켜 주는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 료로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판매함으로써 아프리카의 성장을 지원하
묻기 내가 평소에 필요하다고 느꼈던 직업이나 상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램을 기획·진행하는 기업 기업 는 기업
는지 질문한다. •출처: 커리어패스(path.career.go.kr)
66 Ⅱ . 일과 직업 세계 이해 1. 변화하는 직업 세계 이해 67
ࢤ ഝز
• <열려라! 생각>과 신문, 부모님이나 주변 어른들에게 물어본 사
라진 직업에 대한 내용 등을 통하여 직업의 세계가 변화함을 떠
올려 본다. ଵҊ ܐ
झ ܐ
è ࣁۄ ࣁۄ য়оץ ࠳ۄ व ழೖ ହস ࢎ۹
• <머니투데이>, 「“청소년이라고 무시하지 마세요.” 당돌한 10대 창업
“2년 전 창업해 최근 매출 183만 페소(약 4687만 원)를 올렸습니다.”
가들」, 2015. 8. 9. ‘2015 세이지 월드컵 코리아’ 순수 창업 부문(SRB)에서 우승한 청소년
필리핀 창업팀 ‘세라-세라 오가닉 브라운 쌀 커피’(Sara-Sara
1-3 문제 확인 학습 목표 확인 Organic Brown Rice Coffee)의 대표 제사 마리 데자다 타카다오
(Jessa Marie Dejada Tacadao·17)는 자신 있게 자신의 사업을 소개
ب ݾ 했다.
• 새로운 종류의 직업이나 사업을 상상하고 만드는 모의 활동을 이들은 2년 전 버려지는 쌀눈을 재활용해 커피로 만드는 사업을 시작
했다. 이들의 창업은 ‘왜 아이들은 커피를 마시지 못할까?’, ‘커피는 왜
할 수 있도록 한다.
우리 몸에 해로울까?’라는 의문에서 시작됐다. 그러다 쌀 커피라는 아
Үࢎ ഝز 이디어를 떠올리게 됐다. 타카다오는 “필리핀에서 쌀눈은 가장 영양분
•학습 목표 제시 후 학습 흐름을 안내한다. 이 많은데도 그냥 버려지거나 동물 사료로 사용된다.”며 “커피가 수입
되기 전 우리나라 선조들이 쌀눈을 로스팅해 커피로 마셨다는 이야기
• 〈보고 묻기〉에서 학습 목표와 학생 자신의 상황을 연결하여 학
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말했다.
생 스스로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로스팅 기술 등은 어렵지 않게 해결했지만 영업이 문제였다. 학생 신
↟ب࢚ ਬ↟ 분이라는 점이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글로벌 커피 브랜드의 경쟁도
심했다. 그래서 틈새시장을 공략했다. 학교에 커피를 판매한 것이다.
자신의 경험이나 배경 지식을 근거로 <보고 묻기>에 대한 답을 스스로 타카다오는 “4개월 전에야 겨우 커피 공장 한 곳과 계약을 맺고 커피
찾아보도록 지도한다. 를 생산했다.”며 “우리가 커피를 학교에 판매하면 학교가 다시 학생들
에게 커피를 판매하는 식”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커피 한 봉지를 13페소(약 330원)에 판매한다. 그는 “가난한
자기 주도
ࢤ ഝز 사람들도 건강한 음식·음료를 저렴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
• <보고 묻기>의 질문에 대하여 스스로 답을 생각해 본다. 짝 혹 리의 목표”라고 포부를 밝혔다.
은 모둠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답을 찾아본다. 출처: <머니투데이>, 2015. 8. 9.
158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