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3
P. 163









উ 전개·정리بࣁࠗ ૑


ߑߨ زഝ
• <활동 1-4>: 3번에서 구체화한 아이디어와 그림을 참고하여 기
활동 ·
1 나도 기업가, 모의 창업 창직하기 모둠 사회, 미술
업의 이름과 로고 특징을 정하도록 한다.
내가 일상생활 속에서 필요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여 창업·창직을 하려는 4.
활동 목표 우리 모둠의 창업·창직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한 기업을 만든다고 할 때 모둠별 토의를 • 모둠에서 설립한 가상의 기업에서 어떤 업무가 필요한지 나열하
예비 기업가라고 생각하면서 모의 창업·창직을 해 보자. 통해 기업의 이름, 로고, 특징을 결정해 보자.
창업·창직 아이디어를 구체화 진로 샘
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홍보하는 고 모둠원들과 역할을 나누도록 한다.
모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름 로고를 만들 때는 기업의
1. 각자 집, 등굣길, 교실, 그 밖의 장소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메모지에
특징이 잘 드러나는 색과 형
써서 모둠별로 하나의 종이에 붙이고, 상품이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이유를 발표 태를 고려해야 해요 .
해 보자. • <활동 1-5>: 가상의 기업에서 하는 일(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
로고
상품(서비스) 필요하다고 생각한 이유 소개 등)을 3, 4가지 정하고 각자 명함(163쪽 예시 참조)을 만
준비물
종이, 메모지, 연필, 색연필
들도록 한다.
특징
활동 방법
2. 모둠원들이 발표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합계 점수가 가장 높은 • 각 모둠의 모둠장이 3~4번에서 그림으로 표현한 아이디어와 5
① 4~ 6명씩 모둠을 만든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모둠의 창업·창직 아이디어로 선정해 보자.
② 각자 필요하다고 생각한 상
품이나 서비스를 메모지에 적 5점 매우 높다. 4점 높다. 3점 보통이다. 2점 낮다. 1점 매우 낮다. 5. 4번에서 결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활동 예시를 참고하여 나의 명함을 만들어 보자. 번에서 만든 명함을 발표하도록 한다.
는다.
평가 기준 활동 예시
③ 상품이나 서비스가 필요하다 필요성 창의성 실현 가능성 수익성 합계 점수
고 생각하는 장소를 기준으 상품(서비스) • 발표를 들으면서 평가 기준에 따라 점수를 매기고, 가장 높은
로 모둠별 종이에 메모지를
붙인다.
점수를 받은 모둠을 선정하도록 한다.
࢚ ਬ੄੼↟ب↟૑
집 교실
등굣길 그 밖의 장소
예 박물관에서 • 4번에서는 모둠원들이 충분히 토의한 후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창
재미있게 활동
할 수 있는 프 3. 2번에서 선정한 모둠의 창업·창직 아이디어를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 특징을 써 보자.
로그램 업·창직 상품 혹은 서비스의 특징을 쓰도록 한다. 모둠 내에서 설명글
동료 평가
활동 점검하기
이름 예 프로젝트형 체험 활동 서비스 을 다듬는 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팀을 나눌 수 있다.
각 모둠이 만들고자 하는 기업을 평가해 보자.
그림 특징 5점 매우 그렇다. 4점 그렇다. 3점 보통이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 전혀 그렇지 않다. • 3~4번의 활동은 전체 학생들에게 아이디어를 발표할 때에 활용되므
평가 기준 A 모둠 B 모둠 C 모둠 D 모둠 E 모둠
예 박물관, 미술관, 고궁 등을 체험 활동 장소로 하여 스마트폰 등 학생들의 스마트 로 적절한 크기의 종이 혹은 PPT 등에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
기기에 과제를 전달하고, 과제를 완수하면 다음 장소로 이동하도록 하여 재미있는 일상생활에 유용한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인가?
체험 활동을 돕는다.
투자에 비해 높은 수익을 낼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인가? 이다.
현실에서 개발·판매 가능한 상품·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인가?
• 5번에서 표현하는 명함은 실제 명함 크기의 용지를 배부할 수 있고,
합계 점수
발표를 위하여 가상의 명함을 A4 이상의 크기에 표현할 수도 있다.
68 Ⅱ . 일과 직업 세계 이해 1. 변화하는 직업 세계 이해 69
4 평가 및 정리 평가하기
زഝࢎ Ү
੗ܐ оಣ
• 모둠별로 3~5번에서 활동한 내용을 발표하도록 한다.
಴ • 각 모둠의 발표를 듣고, 동료 평가를 실시하도록 지도한다.оܐ ಣز߂ оಣ ӝ೟ࢤ ੗ زഝè
평가 노력 정도 • 평가를 통해 잘된 점과 미흡한 점을 정리하도록 한다.
평가 항목
방법 상 중 하 • 학습 목표의 성취 정도를 평가 자료의 표를 활용해 스스로 정
리·점검하도록 지도한다. оח੄ ೙ਃࢿਸ ੉೧ೞ৓زഝ੄ ݽହসhହ૒
۽੸ਵӓী ੸زഝ ӝೞѼয ߊ٣ହসhହ૒ ই੉
زഝ೟ࢤ
оחଵৈೞ৓
• 활동 결과에 대한 개인별 평가를 한다.
۽੸ਵӓী ੸زഝ ӝয ࢶ੿ೞ٣자기 ହসhହ૒ ই੉
• 모둠 활동에 대한 모둠별 동료 평가를 한다.
оח평가 ଵৈೞ৓
• 평가를 통해 잘된 점과 미흡한 점을 정리하고, 학습 목표의 성
۽੸ਵӓী ੸زഝ ӝೞച୓ҳয ٣ହসhହ૒ ই੉
취 정도를 스스로 정리·점검한다.
оחଵৈೞ৓
оחଵৈೞ৓ ۽੸ਵӓী ੸زഝ ӝٜೣ ݅ݺ
оחਸ ੜೞ৓۱ഈ җউীࢲ ࣗా مݽ
੗ܐ оಣ
оחଵৈೞ৓ ۽੸ਵӓ੸ Ҋೞपী ࢿزഝ مݽ동료
૑о଴ ಣҙࢎ Ү زഝè оಣ ѱ੿ೞҕ ۄٮળী ӝ ݴ୒ೞ҃߹ ߊ಴ܳ مݽ평가
оחೞ৓
관찰 평가 활동 결과 제작 및 발표
아 기획력 및
발표 이 협동 및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 발표력
모둠 적극성 및 완성도
템 창의성
우수 보통 미흡 우수 보통 미흡 우수 보통 미흡 우수 보통 미흡
Ⅱ. 일과 직업 세계 이해 161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